20개 의대 교수 단체도 “18일 휴진 동참”···응급실·중환자실은 운영

2024.06.14 22:38 입력 2024.06.14 22:51 수정

서울의 한 대학 병원에서 의료진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한수빈 기자

서울의 한 대학 병원에서 의료진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한수빈 기자

전국 20개 의대 교수가 모인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14일 비공개 총회를 열고 이달 18일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추진하는 휴진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전의비는 “전공의들의 안전을 지키고 의료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되돌리기 위해 18일 예정된 단체 행동에 참여하는 것을 재확인했다”며 “전의비 소속 대부분 대학들의 참여를 확인했고, 아직 설문을 마치지 않은 대학(교수)들도 의협 회원으로서 개별적으로 참여 예정인 것으로 파악했다”고 이날 밝혔다.

그러면서 “각 병원에서는 추가 휴진 계획을 논의 중”이라며 “구체적인 기간과 시작 날짜 등 휴진을 어떻게 이어갈지는 향후 더 논의할 사항”이라고 했다. 전의비는 “환자의 건강을 위해 휴진하더라도 응급실과 중환자실의 기능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의협은 지난 9일 전 회원의 약 73.5%(5만2015명)이 휴진을 포함한 집단행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투표 결과를 공개하며 18일 전면 휴진과 총궐기대회 개최를 선언했다.

앞서 전국 대학병원에서 집단 휴진 선언이 잇따라 발표됐다. 지난 13일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휴진에 적극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충북대·울산대·가톨릭대·성균관대·고려대 의대 등이 휴진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서울대와 연세대 의대는 각각 오는 17일과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예고했다.

전의비 관계자는 “얼마 전부터 대학 별로 휴진 계획을 각각 발표하고 있어 단체 차원에서 참여 의사를 재확인한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오는 18일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병·의원들에 대한 휴진 여부를 살피고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할 예정이다. 휴진한 의료 기관은 정당한 휴진 사유가 없을 시 의료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