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기 “녹음파일 공개 추진”… 전병헌 “국기문란 ‘검은손’이 몸통”

2013.07.19 22:06 입력 2013.07.19 23:25 수정

여야, ‘회의록 실종’ 대비 선제 전략 거론

여야가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실종’이 사실로 확인될 것에 대비한 전략 마련에 들어갔다. 어떤 결과에도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겠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은 국가기록원에 회의록이 없다는 점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노무현 정부가 회의록을 넘기지 않은 것으로 규정하면서 책임론을 부각시키고 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19일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모든 정황을 종합해볼 때 회의록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며 “없는 것으로 결론이 날 경우 경위를 규명해 상응하는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록물이 참여정부에서 이명박 정부로 그대로 이관됐다면 유실 및 삭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국가기록원 설명”이라고 했다. ‘~할 경우에는’ ‘~이라면’ 등 가정법을 써가며 노무현 정부 책임을 언급한 것이다.

새누리당 소속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은 지난 18일 “국가정보원이 회의록 녹음 파일을 보관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며 “상황에 따라 공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회의록을 찾지 못하면 국정원 녹음 파일은 사실상 원본 지위를 얻는다. 그는 지난달 20일 국정원의 회의록 발췌본을 열람·공개하며 한 달간 정국을 소용돌이로 몰아넣은 전력도 있다. 여당 일각에서는 검찰에 수사 의뢰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야당은 국가기록원의 관리 책임을 따지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예열하고 있다. 분명히 이관한 기록물이 사라졌다면 그 책임은 관리자에게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회의록이 함부로 유출되고 가공되고, 대선 과정에서 낭독되고, 정보기관이 사본을 공개한 것만 해도 어처구니가 없는 일”이라며 “정본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찾을 수 없다면 또 다른 차원의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여당에는) 기록물을 찾지 못하는 이 상황을 안도하며 반색하는 분위기도 있다고 한다”면서 “그 이유와 의도에 대해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여권을 겨냥해 이명박 정부 기록물 관리에 의혹의 시선을 보낸 것이다.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누군가 회의록을 유실시킨 것이라면 회의록 실종사건의 ‘보이지 않는 손’과 국기문란 사건을 일으킨 새누리당·국정원 비선라인의 ‘검은손’이 같은 몸통이라는 의심을 갖기에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