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D-22 더민주 비례 공천 파문

‘셀프 공천’ 항의 빗발…더민주, 종일 몸살

2016.03.21 23:14 입력 2016.03.21 23:23 수정

중진 의원들도 긴급 성명

중앙위 ‘수정안’ 심야 격론

더불어민주당은 21일 하루 종일 ‘비례대표 공천안 내홍’으로 몸살을 앓았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셀프 공천’과 후보군 일부의 도덕성·정체성 논란이 제기된 데 대해 당내 여기저기서 거센 반발이 일었기 때문이다.

당 분위기는 오전부터 뒤숭숭했다. 국회 당 대표 회의실에서 비례대표 공천안을 다시 짜려는 비대위 회의가 비공개로 열리자 항의하려는 당원들이 몰려들었다.

당 노인위원회 소속 10여명은 ‘천만 노인유권자 무시하는 비례대표는 무효’라고 쓰인 손팻말을 들고 김 대표의 비례대표 2번 배치, 노인 대표성과 지역 안배를 고려하지 않은 명부 등에 대해서 고성을 지르며 거칠게 항의했다. 당직자들과 국회 방호원들이 이를 막아서자 양측은 30여분간 승강이를 벌였고, 이 과정에서 격한 몸싸움을 하기도 했다.

의원들도 바쁘게 움직였다.

이날 오전 박병석·원혜영·유인태·이석현·정세균·추미애 의원 등 중진 의원들은 긴급 회동을 한 뒤 성명을 내고 “비례대표 후보 선정은 당헌을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이뤄져야 한다”며 “여러 논란으로 총선 승리에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 분명한 후보자들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당 을지로위원회도 국회 기자회견에서 비례대표 공천 재검토를 촉구했다. 우원식 을지로위원장은 “비례대표 안에는 당이 지난 4년 동안 줄기차게 외쳐왔던 불공정과 불평등 해결이라는 시대적 과제가 보이지 않는다”며 “약자들을 배려하고 그들과 함께하는 정치를 펴겠다는 약속이 없다”고 지적했다.

비례대표 공천안을 설계한 당사자인 당 혁신위원회와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는 공동 성명을 통해 “김 대표가 전략공천한 일부 후보들은 도덕성과 정체성에서 비례대표가 되기에 결코 적합하지 않다”며 “민생복지정당이라는 더민주 정체성에 부합하는 인재를 후보로 추천할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오후 들어 비대위는 국회 밖으로 자리를 옮겨 비공개회의를 이어갔다. 우여곡절 끝에 오후 3시가 넘어 김 대표의 비례대표 순번을 2번에서 14번으로 옮기는 등 수정안을 만들었다.

이를 의결할 중앙위원회는 결국 두 차례나 연기하며 오후 8시에야 열렸다. 하지만 회의 초반부터 중앙위원 일부가 당헌·당규 위반이라는 문제 제기를 하면서 밤늦게까지 격한 토론이 이어졌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