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누가 문통과 가깝나 경쟁 아냐”…전당대회 과열 차단 부심

2018.08.01 16:36

1일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공명선거 실천 서약식에서 추미애 대표(가운데)와 이해찬, 송영길, 김진표 당 대표 후보(왼쪽부터)가 서약서를 들고 공명선거를 다짐하고 있다. 오른쪽 두번째는 노웅래 중앙당선관위원장./권호욱 선임기자

1일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공명선거 실천 서약식에서 추미애 대표(가운데)와 이해찬, 송영길, 김진표 당 대표 후보(왼쪽부터)가 서약서를 들고 공명선거를 다짐하고 있다. 오른쪽 두번째는 노웅래 중앙당선관위원장./권호욱 선임기자

더불어민주당이 당대표 등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8·25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내 경쟁이 조기 과열될 조짐을 보이자 진화에 나섰다.

민주당 전국대의원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간사를 맡고 있는 김영진 의원은 1일 “누가 더 문재인 대통령과 가까운 것인가의 경쟁이 아니라, 어떻게 더 민주당을 강하게 만들 것인가, 민주당 잘 만드는 경쟁으로 나가는 게 당원들도 바라고 국민도 바라는 바”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당대표 선거가 ‘문재인 마케팅’에 열을 올린다는 비판이 나온다”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그러면서 “과거 논쟁보다는 미래·통합 등에서 누가 더 능력 있는가 하는 부분들, 당·정·청 관계를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 어려운 여러 외교·안보·경제 상황들을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 공천시스템은 어떻게 정비해가면서 당을 끌어 갈 것인가 등 긍정적인 경쟁으로, 나아가 비전을 주는 전당대회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지난달 26일 예비경선에서 송영길·김진표·이해찬 후보(기호순)가 본선 주자로 압축된 이후 전당대회가 마치 ‘친문재인 후보 뽑기’ 양상으로 흘러가는 듯하자 당 차원에서 조기에 ‘과열 경보’를 내린 셈이다.

후보 상호 네거티브전 등으로 확대될 경우 중앙당 차원의 개입 가능성도 시사했다.

김 의원은 이날 “과거에 비해 조기에 전당대회가 과열되며 논쟁이 확산되는 것 같다”면서 “향후 네거티브로 가지 않길 바라지만, 적절한 선을 넘게 되면 선거관리위원회에서 그에 따른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김·이 후보를 비롯해 8명의 최고위원 후보들은 이날 ‘공명선거 실천 서약식’에 참석했다. 추미애 대표는 이 자리에서 “반드시 문재인 정부를 성공시키기 위해 전대가 있는 것인 만큼 우리끼리 도 넘은 네거티브나 흠집 내기를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대 출마자들이 모두 ‘친문 후보’를 자처하는 가운데, ‘이재명 경기지사 탈당론’이 일으킨 스파크에 당원들끼리 충돌 조짐을 보이는 등 선거운동 초반부터 이상 과열되는 분위기를 진정시키려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수도권·호남 ‘권리당원’ 표심이 관건

전준위는 대표·최고위원 경선의 85%를 차지하는 대의원(40%)·권리당원(45%)의 규모와 지역분포 등에 대해서도 이날 간략히 설명했다.

전준위 간사 김영진 의원은 “대의원은 1만7000명이 조금 넘을 것 같고, 권리당원 수는 약 73만명”이라며 “2016년 8·27 전당대회 당시 대의원은 1만4000명, 권리당원은 21만명이었다”고 밝혔다. 2년 전과 비교해 권리당원 수가 3.5배 가량 증가한 것이다.

김 의원은 권역별 권리당원 분포에 대해 “서울과 경기가 각각 20%, 호남이 27%, 영남이 12%, 충청은 13% 내외이고, 인천·강원·제주에서 각 3~4%의 분포”라고 설명했다.

전체 권리당원의 70%를 차지하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과 호남 권리당원들의 ‘표심’이 전체 선거를 좌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