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내주 초 워싱턴서 외교회담

2010.12.01 21:52 입력 2010.12.02 11:30 수정

북 포격·우라늄 농축 등

3국 공조방안 조율 예정

한국과 미국, 일본이 오는 6일 미국 워싱턴에서 외교장관 회담을 갖고 북한의 연평도 포격 사건과 우라늄 농축시설 공개 등에 대한 공조 방안을 조율한다.

정부 당국자는 1일 “다음주 6일 워싱턴에서 3국 외교장관 회담이 열린다”며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 공개와 연평도 포격 사건 이후 3국 외교장관이 처음으로 모이는 만큼 이와 관련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로버트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달 30일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은 북한의 호전적 행동을 중지시킬 책임과 의무가 있다”면서 “향후 며칠 내에 이를 위한 다자적 협의에서 진전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마에하라 세이지 일본 외상도 같은 날 “(3국이) 공동으로 북한의 무모한 행동을 비난하고, 이 지역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진지하게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이번 회담에서는 중국이 지난달 28일 다이빙궈 국무위원이 방한한 뒤 내놓은 6자회담 수석대표 긴급회동 제안에 어떻게 답할지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 문제 해결에서 중국 역할론을 요구해온 한·미·일 3국은 중국의 이번 제안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연내 6자 긴급회동은 어렵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대신 한·미·일 외교장관들은 이번 회담을 통해 중국에 대북 압박을 높여 달라는 요구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미국은 중국이 북한을 설득하는 의무를 충실히 이행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며 “중요한 것은 북한을 움직이고 진전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 외교소식통은 “한·미·일이 모인다는 모양 자체로 중국엔 적지 않은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1일 카자흐스탄에서 열린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정상회의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교장관과 만나 한반도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중국에 대한 압박 전선에 러시아를 끌어들이기 위한 외교전의 일환이다.

다만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에 앞서 중국 다이빙궈 국무위원이 방북해 북·중 간 고위급 협의가 진행될 예정이어서 3국은 이 결과를 본 뒤 최종 입장을 정할 것으로 보인다.

<손제민 기자 jeje17@kyunghyang.com>

[세상과 칸의 만남, KHross] 북 연평도 공격 속보 라운드업

[송민순 전장관의 정세분석] MB정부는 ‘안보 3無 정부’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