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북 미사일 발사로 한반도 '사드' 배치 공식 협의'

2016.02.07 15:08 입력 2016.02.07 16:15 수정
박성진 기자

한·미는 북한이 4차 핵실험에 이어 7일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를 감행함에 따라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를 공식 협의하기로 했다.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은 이날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토머스 밴덜 주한미8군사령관과 함께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에 대한 군사적 대응을 설명하는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류 실장은 “한국과 미국은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를 공식 협의하기로 했다”며 “이는 커티스 스캐퍼로티 주한미군 사령관이 건의했고 한·미동맹 차원에서 결정했다”고 말했다.

류 실장은 “미국과 대한민국은 증대하는 북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동맹의 미사일 방어태세를 향상하는 조치로서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가능성에 대한 공식 협의의 시작을 한·미 동맹차원에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미 공식협의의 목적은 가능한 조속한 시일 내 사드의 한반도 배치 및 작전수행 가능성을 공동으로 모색하는데 있다”고 덧붙였다.

국방부 고위관계자는 브리핑 후 기자들과 만나 “사드가 한반도에 배치되면 남한 지역 3분의1에서 2분1을 방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사드 배치가 중국을 자극할 것이란 우려에 대해선 “사드의 사격통제 레이더는 전진배치 모드가 아닌 종말모드로만 운용될 것”이라며 “북한 위협에 대해서만 운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사드 배치가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MD) 편입 수순이란 시각에 대해서도 “MD체계와는 무관하다”고 부인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사드 배치 비용과 관련해선 “정부는 사드 부지와 기반 시설을 제공하게 되고 미측은 사드 전개비용과 운영 유지비용을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드 1개 포대 획득비용은 1조원 정도라며 사드를 구매할 계획은 없다고 했다.

국방부는 사드 배치와 관련해 “한·미 공동실무단에서 적정 부지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부지 후보로는 경기 평택을 비롯해 대구, 경북 칠곡 등이 거론돼 왔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