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6월부터 안보리 의장국 “한·일·중 협력 접점도 만들 것”

2024.05.24 07:07 입력 2024.05.24 13:51 수정

황준국 주유엔대사 간담회

“북한 도발 시 언제든지 안보리 회의 소집”

“사이버안보 논의 주도…북한인권 정례회의 추진”

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가 23일(현지시간) 특파원간담회를 열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순회의장국 활동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화상회의 화면캡처

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가 23일(현지시간) 특파원간담회를 열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순회의장국 활동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화상회의 화면캡처

한국이 오는 6월부터 한 달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의장국을 맡는다. 2014년 5월 이후 10년 만에 안보리 순회의장국을 맡은 한국은 북핵 위협과 북한 인권 등 한반도 문제에 관한 공조를 주도하고 사이버 안보 관련 논의를 활성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는 23일(현지시간) 뉴욕 주유엔대표부에서 대면 및 화상으로 진행된 특파원간담회에서 다음달 안보리 순회의장국 활동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황 대사는 “안보리 의장국으로서 북한의 도발에 대응해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안보리 회의를 소집할 준비가 돼 있다”며 “북한 인권 관련 정례회의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장국은 이사국들과 협의해 안보리 회의 개최 시점과 회의 형식 등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고, 국제사회 현안에 대한 긴급회의를 소집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한국은 특히 아직 안보리 공식 의제가 아닌 사이버 안보 문제 논의에 집중할 계획이다. 조태열 외교장관이 주재하는 사이버 안보 고위급 공개 토론의 개최 등을 통해 안보리 내 사이버 안보 논의 위상을 끌어올릴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황 대사는 “핵심 기반 시설에 대한 사이버 공격, 민간 정보 및 가상자산 탈취와 같은 악성 사이버 활동은 초국경적 성격을 가지며,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서방과 비서방,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국가를 막론하고 모든 국가가 당면한 안보 위협”이라며 “안보리가 이 같은 새로운 중요 안보 이슈를 앞으로 어떻게 다뤄나가야 하는지가 시대적인 도전 과제”라고 말했다.

또한 안보리 내에서 한·미·일 3자 공조를 탄탄히 하는 한편 중국, 일본과의 3국 협력 기회도 모색하겠다는 입장이다. 황 대사는 “유엔 안보리 내 한·미·일 3자 간 긴밀한 공조뿐만 아니라 한·일·중 간에도 가능한 협력의 접점을 넓혀나가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최근 새로 부임한 중국대사와도 6월 안보리 일정과 관련해 상세히 협의한 바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고위당국자는 “중요한 문제에 대해 서로 입장이 전혀 다르다 하더라도 중국과의 관계에서 안보리라는 공간을 활용해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다”며 “(다음주) 한·일·중 정상회의를 하고 나면 (중국과) 분위기가 훨씬 더 좋아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