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푸틴 2시간 단독 회담에서 무슨 얘기 나눴나

2024.06.19 21:01 입력 2024.06.19 21:08 수정

통역만 대동한 채 차 마시며 별도 회담

무기 및 군사기술 거래 거론 가능성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새벽 북한 평양에 도착해 국빈 방문을 시작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우리 나라를 국가방문하는 로씨야련방 대통령 평양 도착,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울라지미르 울라지미로비치 뿌찐동지를 뜨겁게 영접하시였다”고 보도했다.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새벽 북한 평양에 도착해 국빈 방문을 시작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우리 나라를 국가방문하는 로씨야련방 대통령 평양 도착,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울라지미르 울라지미로비치 뿌찐동지를 뜨겁게 영접하시였다”고 보도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9일 참모들이 배석하는 확대 정상회담뿐 아니라 별도의 단독 정상회담도 진행했다. 무기와 군사기술 거래 등 민감한 내용이 오갔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이날 오후 평양 금수산영빈관에서 확대 정상회담을 개최한 뒤, 둘만 남아 단독 회담을 했다. 약 2시간가량 시간을 보낸 것으로 보인다. 양측은 찻잔이 놓인 원탁에 통역관만 배석한 채 마주 앉아 담소를 나눴다.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공개돼지 않았지만 공식 회담장에서 의제로 올리기 부담스러운 사안이 다뤄졌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양측의 비공식 대화를 “가장 중요하고 민감한 사안들이 논의될 예정이기 때문에 꽤 많은 시간이 할애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이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전쟁에 필요한 탄약 등 군수물자를 제공하는 방안과 관련한 얘기가 오갔을 수 있다. 북·러는 부인하지만 국제사회는 북한이 러시아에 탄약 등을 지원한 것으로 본다. 러시아는 북한에 군사정찰위성 기술 제공하는 등 우주협력과 관련한 논의가 이뤄졌을 수 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군사정찰위성 1호기 발사에 성공했으나, 지난 5월에는 2호기 발사에 실패한 상태다.

합의까지는 아니더라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재진입과 핵추진잠수함 건조 등 핵심 군사기술과 관련 대화를 했을 수 있다. 북한의 방공망이 취약한 만큼 러시아의 지대공미사일 등도 논의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 북한 노동자의 러시아 파견도 거론했을 수 있다. 모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 위반에 해당하는 사안이다.

두 정상은 또 양측의 ‘포괄적 전략 동반자 조약’ 체결이 향후 지역 및 국제 정세에 미칠 영향 등과 관련한 대화를 나눴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특히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서방 등의 반발이 예상되는 만큼 대응 방안 등도 협의했을 수 있다. 중국이 북·중·러 3각 연대에 거리를 두고 최근 북·러 밀착 강화를 견제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는 점도 의견을 주고받았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