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물풍선 직강하, 조심하세요”···6차 풍선 100여개 낙하

2024.06.26 11:28

지난 25일 서울시 성북구 석관동에 오물풍선의 내용물이 흐트러져 있다. 합동참모본부 제공

지난 25일 서울시 성북구 석관동에 오물풍선의 내용물이 흐트러져 있다. 합동참모본부 제공

북한이 지난 25일 밤부터 26일 새벽까지 날려보낸 6차 오물풍선 중 100여개가 경기북부와 서울 지역으로 떨어졌다. 지난 24일부터 3일 연속 오물풍선을 부양하고 있다. 군 당국은 약 10kg의 풍선이 공중에서 터지지 않은 채로 직강하할 경우 위험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합동참모본부는 26일 “오전 9시까지 식별된 오물풍선은 250여개”라며 “이 중 100여개가 경기북부와 서울 지역에 낙하했다”고 밝혔다. 오물풍선 안에는 지난 5차 살포 때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종이조각이 담겼다. 합참 관계자는 “(가로 세로) 8㎝ 내외 크기로 자른, 낮은 품질의 종잇조각이 한 꾸러미 안에 7000개 이상 들어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로 인천공항에서는 이날 오전 1시46분부터 4시44분까지 약 3시간 동안 국내·국제선 항공편의 이·착륙이 중단되거나 지연됐다. 항공기 엔진에 이물질이 빨려들어갈 경우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물풍선 안에 위협물질은 들어있지 않지만, 약 10kg 무게의 풍선이 공중에서 터지지 않은 상태로 직강하할 경우 위험할 수 있다. 앞서 터지지 않은 풍선이 차량의 전면유리를 파손시킨 사례도 있다.

북한은 지난 24~25일 350여개의 풍선을 날려보내 이 중 100여개가 경기북부와 서울 지역에 떨어졌다. 앞서 지난달 28~29일부터 지난 9~10일까지 네 차례에 걸쳐 오물풍선을 띄웠다. 북한은 탈북민단체의 대북전단 살포가 지속될 경우 “몇십 배 대응”하겠다고 공언했다. 이후에도 탈북민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를 지속되고 있다.

합참은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여부를 현재까지 결정하지 않았다. 합참은 “대북 심리전 방송은 즉각 시행할 준비가 돼 있다”며 “전략적·작전전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시행할 것이며 이는 북한의 행동에 달려있다”고 밝혔다. 합참은 북한이 3차 오물풍선을 살포한 이후인 지난 9일 두 시간 동안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실시한 이후 현재까지 추가 방송을 하지 않고 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