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농단’ 청문회

‘블랙리스트’ 마지못해 실토한 조윤선

2017.01.09 23:04 입력 2017.01.09 23:32 수정

국조특위 7차 청문회서 답변 회피하다 “이달 초 명단 보고 받았다”

특검, 핵심 4인방 김종덕·김상률·정관주·신동철 구속영장 청구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9일 국회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국정조사특위 7차 청문회에 출석해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대해 사과한 뒤 일어나 몸을 숙이고 있다. 김창길 기자 cut@kyunghyang.com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9일 국회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국정조사특위 7차 청문회에 출석해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대해 사과한 뒤 일어나 몸을 숙이고 있다. 김창길 기자 cut@kyunghyang.com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51)이 9일 “예술인들의 지원을 배제하는 명단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간 ‘문화계 블랙리스트’ 존재 자체를 부정하거나 모른다고 했던 데서 입장을 바꾼 것이다. 블랙리스트 작성을 지시하거나 실행에 관여했다는 의혹은 거듭 부인했다.

조 장관은 이날 국회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7차 청문회에서 국민의당 이용주 의원이 ‘블랙리스트가 있나, 없나’라고 묻자 이같이 말했다. 블랙리스트 존재를 명확히 안 시기를 두고 “이달 초 예술국장으로부터 직원이 이 명단을 작성했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문화예술인은 물론 국민들에게 실망과 공분을 야기한 점을 사과드린다”고 했다.

조 장관은 또 예술인에 대한 정부 지원 제한을 맨 처음 보고받은 시점은 장관 취임 직후인 지난해 9월이라고 밝혔다. “(정부 비판적) 예술인을 배제하라는 강력한 요구들이 있었고, 처리 과정에서 국장이 좌천되고 담당 직원이 경고받은 적이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조 장관은 당시에는 ‘블랙리스트’ 존재 자체는 몰랐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그간의 발언은 위증”이라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문체부 직원 제보를 통해 “장관 취임 직후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 이후 직원들이 블랙리스트 관련 보고를 했다고 하는데 그간 모른다고 잡아뗀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조 장관은 블랙리스트 관여 여부에는 “지시받은 적도, 지시한 적도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조 장관은 2014년 청와대 정무수석 재직 당시 정부에 비판적인 예술인들의 명단을 만들어 지원을 제한토록 압력을 행사한 의혹을 받고 있다. 조 장관은 이날 동행명령장이 발부된 오후에야 청문회장에 나왔다. 출석해서도 특위가 위증 혐의로 고발한 점을 들어 50여분간 사실상 답변을 거부해 빈축을 샀다.

박영수 특검팀은 블랙리스트 작성에 관여한 혐의(직권남용·강요)로 김종덕 전 문체부 장관과 김상률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정관주 전 문체부 1차관, 신동철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의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규철 특검 대변인은 “고위공무원들이 문화계 지원 배제 명단을 작성해 국민의 사상과 표현의 자유를 심각하게 훼손한 만큼, 관련자들에게 엄중한 책임을 물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전 장관 등의 구속 여부는 영장실질심사가 열리는 11일 저녁 결정된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