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당시 해경 간부들 “우리 목돈 벌 기회”

2020.01.14 06:00 입력 2020.01.14 07:12 수정

기무사 현장지원TF 문건 기록

당시 공군·해군·해경 동향 적혀

“수당 늘어” “눈치보기” 발언도

철거되고 있는 해경 간판. 연합뉴스

철거되고 있는 해경 간판. 연합뉴스

세월호 참사 구조·수색 과정을 조사한 군 문건에 해경과 공군·해군 활동의 문제들이 적시된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경향신문이 확보한 옛 국군기무사령부(현 군사보안지원사령부) 세월호 현장지원 태스크포스(TF) 문건(2014년 6월20일 작성)을 보면, “해경 간부들이 ‘세월호는 국민적 슬픔이지만 우리에게는 목돈을 벌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주변에 언급”이라고 적은 대목이 나온다. 문건에서 지칭한 해경 간부들은 현장 구조·수색에 참여한 이들이다.

이 문건은 “해경 조종사는 초과근무수당이 월 최대 240만원까지 나와 구조작전에 투입되기 위해 언쟁하는 모습도 목격” “ ‘근무 투입 후 다음날 휴무가 보장돼 시간적 여유가 많아졌다’며 자랑” “일일 최대 16시간까지 시간 외 수당을 받아 서로 파견을 신청하는 기현상 관찰”이라고도 썼다. 또 다른 문건(2014년 6월28일 작성)에는 “해경 ㄱ서장이 언론의 무분별한 보도로 해경이 희생됐다는 내용이 담긴 월간지 50권을 자비로 구입해 지인들에게 전달하고 있다”고 쓰여 있다. 이 잡지는 ‘월간조선’이다. 군은 이런 발언 등을 두고 “대언론 유출방지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적었다.

공군 담당 기무사 문건은 “관련 기관 지원요청이 없다보니 공군은 스피드가 생명인데 현장에 제일 늦게 도착한 결과가 생겼다”(당시 최차규 공군총장), “현장 상공은 좁은데 해경이 상황 통제 못해 헬기끼리 충돌할 뻔한 상황도 있었다”(공군 정작부장 소장) 같은 수색·구조 과정 문제도 담았다.

해군 담당 기무사 문건은 “해군 보유 세월호 도면과 실제 세월호 구조가 상이해 작업이 지연됐다”(해군 대령), “해군에서도 초동조치를 잘못한 것은 사실임. 해작사(해군작전사령부)에서는 구조장비 확보 회의만 하고 있었음”(해군 특전단 참모장), “사건 초기부터 국방부가 해군총장을 독도함에 전개시킨 것은 잘못이다. 해당 해역을 잘 아는 사령관이 독도함에 전개했어야 한다”(해군 특전단장), “정부 컨트롤타워가 없어 해경과 군에서 최고 지휘관들이 현장에 전부 투입돼 협조보다는 이해관계에 의한 눈치보기가 생기지 않았을까”(해군 대령)라는 발언도 적었다.

문건 중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주한미군 제언 사항’(2014년 4월29일 작성)을 보면 주한미군 진해해군기지(CFAC) 소방대장은 “가장 아쉬운 점은 제일 먼저 도착한 해경이 외부 탈출 승객 구조에 급급했던 것”이라며 “선내 승객에게 나오라는 소리만 한 번 질렀어도 많은 인명을 구조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