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 기로에 선 EU

1975년에도 EEC 잔류 국민투표…배경 같지만 결과 달라

2016.06.26 22:52 입력 2016.06.26 23:21 수정

당시 집권당 대표, EEC 반대파 달래려 내민 ‘정치적 카드’

[브렉시트 - 기로에 선 EU]1975년에도 EEC 잔류 국민투표…배경 같지만 결과 달라

1975년 6월 영국은 이미 한 차례 유럽과의 관계를 놓고 국민투표 홍역을 치렀다. 당시 이슈는 유럽연합(EU)의 전신인 유럽경제공동체(EEC)에 남을 것인가 하는 점이었다. 이번 국민투표와 41년 전의 투표를 놓고, ‘평행이론’까지 나온다.

두 국민투표의 닮은 점은 집권당 대표가 유럽 통합에 회의를 품은 당내 반대파들을 달래기 위해 국민투표를 정치적 카드로 내밀었다는 점이다. 영국은 1973년 에드워드 히스 보수당 정권 시절 EEC의 일원이 됐다. EEC 가입과 동시에 영국 내에서 유럽회의론이 고개를 들었다. 히스에 이어 정권을 잡은 해럴드 윌슨 총리는 EEC 잔류 여부를 국민투표에 부치기로 했다.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가 집권 보수당 내 EU 탈퇴론자와 극우파를 달래기 위해 브렉시트 국민투표를 내건 것과 닮았다.

하지만 두 국민투표는 다른 점도 있다. 1970년대 영국은 이민자 유입이 아니라 인재 유출을 걱정했다. 당시 야당인 보수당 대표 마거릿 대처가 ‘잔류’ 캠페인을 도왔고 67%가 EEC 잔류를 택했다.

이후 노동당은 ‘대륙과의 동행’에 대체로 한목소리를 내왔다. 반면 보수당에서는 하나의 유럽에 대해 늘 불협화음이 터져나왔다. 대처는 총리가 된 뒤에는 유럽이 단일시장을 넘어 ‘초국가적 연방주의’로 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영국이 유럽에 내는 분담금이 많다고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1993년 11월 마스트리흐트 조약이 발효돼 EU가 공식 출범했다. 이때도 영국은 단일통화에 참여하지 않을 권리(옵트아웃)를 얻어내 파운드화를 계속 쓰기로 했다. 유럽회의론이 강해졌고 결국 2016년 브렉시트 국민투표에 이르렀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