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올림픽 출전 선수, 백신 먼저 맞아야 할까?

2021.03.01 15:09 입력 2021.03.01 16:18 수정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 지난달 24일(현지시간) 화상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제네바|연합뉴스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 지난달 24일(현지시간) 화상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제네바|연합뉴스

오는 7월 도쿄올림픽이 예정대로 열릴 때를 대비해 각국이 출전 선수들에게 코로나19 백신을 먼저 맞힐지 고심하고 있다. 일부 국가들은 올림픽의 특수성을 고려해 우선접종 대상자인 의료진과 고령자를 제치고 선수들에게 백신을 맞히고 있다. 반면 상대적으로 백신 물량을 넉넉히 확보한 서방국가들에서는 선수들도 방역지침에 따른 접종 순서를 기다리기로 했다.

뉴욕타임스는 28일(현지시간) “예년이라면 젊고 건강한 프로 선수들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에서 뒷순위로 밀렸겠지만, 올림픽 개최지인 일본이 비상사태를 선포할 정도로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상황이 복잡해졌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 헝가리, 리투아니아, 세르비아에서는 이미 올림픽 출전 선수들에게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백신 접종율 세계 1위인 이스라엘은 출전 선수 접종을 5월까지 끝낼 계획이다. 멕시코는 대통령까지 직접 나서 지난달 18일 의료진, 노인, 교사와 함께 올림픽 국가대표를 접종 우선순위에 배치했다. 인도 정부도 지난달 4일 올림픽 출전 선수에게 백신을 먼저 맞히겠다고 발표했다.

일부 올림픽단체들은 자국 정부를 상대로 로비하고 있다. 벨기에 올림픽위원회는 정부에 선수들을 위한 백신 물량 400~500개를 따로 요구했다. 그리스 올림픽위원회는 “의료진과 노인 다음으로 운동선수를 우선순위에 넣기 위해 정부에 압력을 가할 것”이라고 했다.

반면 미국, 영국, 독일, 캐나다, 이탈리아 올림픽위원회는 선수들에 대한 우선접종권을 요구하지 않기로 했다. 미국 올림픽위원회는 국가 공중보건지침을 따르겠다고 했다. 독일 올림픽위원회는 국가의 접종 계획을 방해하지 않고 “줄을 서서 기다리겠다”고 했다. 영국 올림픽위원회도 “우선순위는 취약한 노인과 일선 노동자”라고 했다. 대신 이들은 올림픽 전에 선수들에게도 접종기회가 돌아오기를 희망하고 있다. 백신 물량을 상대적으로 많이 확보한 이들 국가에서는 우선순위를 조정하지 않아도 선수들이 올림픽 전에 백신을 맞을 확률이 높다.

올림픽 출전 선수를 우선 접종해야 하는지를 두고는 의견이 엇갈린다. 뉴욕타임스는 “많은 정치인과 스포츠 지도자, 빨리 접종받고 싶은 시민들이 선수 우선접종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올림픽 전에 각국이 예방접종을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 올림픽이 대규모 축제가 될지, 한 달간 이어지는 ‘글로벌 슈퍼 바이러스 전파 행사’가 될지 정해질 것”이라고 했다. 대규모 스포츠 행사인 올림픽의 방역을 위해서라도 접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선수들이 백신을 맞아야 감염 걱정을 덜고 올림픽 준비에 매진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올림픽 개최국인 일본과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출전 선수들에게 예방접종과 자가격리를 요구하지 않기로 했다. 대신 일정 기간마다 코로나19 검사를 의무화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