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쿠데타·분쟁 탓에…전 세계 난민 규모, 2023년 사상 최대

2024.06.14 14:38 입력 2024.06.14 15:26 수정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에서 지난 10일(현지시간) 난민 아동들이 물을 뜨러 가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에서 지난 10일(현지시간) 난민 아동들이 물을 뜨러 가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지난해 전 세계적으로 난민이 급증하며 총 난민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13일(현지시간) 유엔난민기구(UNHCR)의 ‘2023년 강제 이주’ 자료를 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난민 약 880만명이 새로 발생하며 2023년 말 기준 전체 난민의 수가 1억1730만명에 도달했다. 총 난민 수는 전년보다 8% 증가하며 사상 최대 규모를 새로 썼다.

전체 난민 규모는 전 세계 인구의 약 1.5%에 해당하며, 10년 전에 비하면 거의 두 배 늘어났다. 이는 난민, 망명 신청자, 국내 실향민, 분쟁을 비롯한 폭력으로 쫓겨난 이들을 포함한 것이다.

지난해 새로 발생한 난민 약 75%는 저소득·중간소득 국가 출신이었다. 난민의 약 69%는 주변 국가로 떠났다. 난민을 가장 많이 받은 국가는 미국으로 120만명을 수용했다. 독일(약 33만명), 이집트(약 18만명) 등이 뒤를 이었다. 난민 중 아동의 비율은 약 40%로, 전 세계 인구 중 아동의 비율인 30%보다 높다.

연간 전 세계 총 난민 규모. 유엔난민기구 제공

연간 전 세계 총 난민 규모. 유엔난민기구 제공

난민 증가로 이어진 사건으로는 수단 분쟁, 가자지구 전쟁, 미얀마 쿠데타 이후 혼란, 아프가니스탄 불안정, 우크라이나 전쟁 등을 꼽을 수 있다. 수단에서는 지난해 정규군과 준군사조직 신속지원군(RSF) 사이 무력 충돌이 발생해 수단 출신 난민신청자는 180만명으로 증가했다. 이들 대부분은 차드, 이집트, 에티오피아 등 주변 국가의 문을 두드렸다.

또한 지난해 10월 가자지구에서 전쟁이 벌어지며 난민 약 170만명이 발생했다고 추정된다. 군부 쿠데타 이후 민주 세력과 군부 간 충돌이 수년째 이어지는 미얀마에서도 지난해 난민 130만명이 새로 발생했다.

유엔난민기구는 올해도 난민 증가 추세가 이어지리라 전망했다. 유엔난민기구는 올해 1~4월 강제적인 이주가 계속 증가해 지난 4월 말 기준 난민 수가 1억2000만명을 넘을 것으로 추정했다. 필리포 그란디 유엔난민기구 대표는 “극명하게 늘어나고 있는 난민 수의 이면에는 수많은 인간적 비극이 숨어 있다. 국제 지정학에 변화가 없는 한 불행히도 그 수치는 계속 올라갈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