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기록원, 본문 검색 않고도 “했다” 두 차례 거짓말

2013.07.20 00:00 입력 2013.07.21 11:09 수정

13일 중 4일만 작업하고 “적극 검색”

국회서 사과… 야당 주장에 힘 실려

국가기록원이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1·2차 예비열람 당시 전자문서의 본문 검색을 하지 않고도 “검색을 했지만 회의록을 찾지 못했다”고 거짓 보고한 것으로 19일 밝혀졌다. 국가기록원 측은 지난 18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이 같은 사실을 시인하면서 여야 열람위원들에게 사과했다.

국가기록원은 지난 15일 열람위원 10명이 경기 성남의 국가기록원 산하 대통령기록관을 첫 방문했을 때 정상회담 회의록 소재를 묻는 질문에 “해당 문서를 찾을 수 없다”고 답했다. 기록원 측은 “여야가 제시한 ‘남북정상회담’ 등 7개 키워드를 입력해 검색했지만 회의록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민주당 열람위원들이 “구체적 근거를 대라”고 하자 기록원 측은 “전자문서는 키워드로 제목과 본문을 검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회의록은 참여정부 청와대 ‘e지원시스템’에서 기록원 전산관리시스템인 ‘팜스(PAMS)’로 옮겨져 전자문서 형태로 보관 중이다.

참여정부 임상경 전 청와대 기록관리비서관은 “본문에서 키워드를 검색하려면 대상 기록물에 일일이 색인을 달아야 하는데 그 작업은 하지 않았다. 본문 검색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열람위원들에게 하지도 않은 본문 검색을 했다고 속인 것이다.

기록원 소속 전산전문가는 18일 운영위에서 1·2차 예비열람 당시 전자문서에 대한 본문 검색을 실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전문가는 “전자문서의 경우 본문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문서에 설정된 암호를 풀어야 한다”며 “이 같은 방법을 이용한 본문 검색은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민주당 열람위원들이 ‘공석인 대통령기록관장 직무대행과 서비스 과장에게 관련 사실을 보고했느냐’고 묻자 이 전문가는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민주당 열람위원들이 “왜 이런 얘기를 하지 않았느냐”고 추궁하자 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은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기록원은 지난 17일 2차 예비열람 때도 “1차 방문 전 3일, 2차 방문 전 1일 동안 총 5명을 투입해 전자문서와 모든 제목과 본문을 검색했다”고 말했다.

여야가 7개 키워드를 제시한 지난 5일부터 운영위 보고까지 13일간 검색할 수 있는 시간이 있었지만 기록원은 총 4일만 검색을 한 것이다. 주어진 시간의 3분의 1도 사용하지 않고 게다가 본문 검색은 하지도 않은 채 “없다”고 단정한 것이다. 그러면서 기록원 측은 “가능한 방법을 다 동원했지만 찾지 못했다”며 “문건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기록원의 거짓 보고와 느슨한 작업이 확인됨에 따라 “없는 것이 아니라 못 찾는 것”이라며 기록원의 검색 의지를 의심하는 야당의 주장에 힘이 실리게 됐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