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거간꾼 여론조작 놀이터 된 포털…안 막나, 못 막나

2018.04.19 06:00

아이디당 댓글 수·시간 제한 등 불구 근본적 해결 어려워

전문가, 블록체인 적용 제안…‘기사 장사’ 제동 목소리도

뉴스 클릭 때 해당 언론사로 옮겨가는 ‘아웃링크’도 대안

<b>검경 수장, 나란히 반부패회의 입장</b> 수사권 조정을 둘러싸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문무일 검찰총장과 이철성 경찰청장, 조국 민정수석(왼쪽부터)이 18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제2차 반부패정책협의회에 참석하기 위해 나란히 걸어가고 있다. 서성일 기자

검경 수장, 나란히 반부패회의 입장 수사권 조정을 둘러싸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문무일 검찰총장과 이철성 경찰청장, 조국 민정수석(왼쪽부터)이 18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제2차 반부패정책협의회에 참석하기 위해 나란히 걸어가고 있다. 서성일 기자

‘드루킹’의 댓글 여론조작 사건에 네이버 등 포털의 책임은 없는가. 드루킹과 같은 정치 거간꾼들이 포털 댓글을 여론조작에 활용하고 있으나 네이버와 카카오는 아직 근본적인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포털 역시 나름대로 대비책을 실행하고 있다고 하소연하지만 결과는 무용지물이었다.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근본적 해결책들도 당장 실현되기는 불가능하다. 결국 상당 기간 이 같은 여론조작 사건이 재발할 수 있다는 의미다.

18일 네이버 등 포털에 따르면 댓글 입력이나 추천 등 특정 작업을 반복하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막기 위한 장치는 실행되고 있었지만 결과는 실패였다. 포털들은 댓글조작을 막기 위해 아이디당 하루에 쓸 수 있는 댓글 수를 제한(네이버 20개·다음 30개)하고 있다. 또한 댓글을 연속으로 작성하지 못하도록 댓글 등록에 시간 제한(네이버 10초·다음 15초)을 두고 있다.

네이버는 또한 동일한 IP(인터넷 고유 주소) 대역에서 일정 횟수 이상 로그인을 시도하거나 동일한 내용의 댓글을 반복해서 올릴 경우 ‘캡차(CAPTCHA)’를 띄운다. 10분 내에 일정 수치 이상 공감을 클릭할 때도 캡차를 노출한다.

캡차는 사용자가 사람인지, 컴퓨터 프로그램인지를 구별하기 위해 쓰이는 방법이다. 캡차에 있는 숫자와 영문을 기계가 알아볼 수 없어 매크로 작업이 멈추게 된다. 카카오도 올해 2월부터 비슷한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법으로 2012년 대선 이후부터 이뤄지고 있는 댓글 조작을 근본적으로 막기는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방패를 뚫는 새로운 창이 매번 나타나기 때문이다. 여론전을 위해 인원과 장비를 갖추고 여러 아이디로 접속해 IP를 변경해가면서 수작업으로 댓글을 작성할 경우 이를 감지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영주 제3언론연구소 소장은 “댓글로 여론을 ‘제조’하려는 정치적 거간꾼들이 온라인상에 존재하고 그걸 필요로 하는 정치집단이 있는 상황에서 작정하고 댓글을 조작하는 걸 막기란 어렵다”고 말했다.

댓글만이 아니라 포털 검색 결과를 바꿔 여론을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네이버와 다음은 구글과 달리 검색 결과를 자사가 운영하는 카페나 블로그에서 먼저 검색해 그 결과를 상단에 올린다. 매크로를 이용해 조회수와 공유수를 높이면 검색 결과에서 다수를 점할 수 있다. 주로 맛집 추천에 쓰이는 광고 전략이 정치 여론전에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한 정보기술(IT) 전문가는 “블로그나 카페에 특정 후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글을 올리고 계정 100개를 만들어 이를 공유하고 자동으로 조회수를 높이는 프로그램을 돌리면 여론조작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포털은 아직 뾰족한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블록체인을 댓글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안을 한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댓글을 작성할 경우 작성자와 그 댓글에 평가를 한 사람들에게 가상통화로 보상이 돌아가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평판과 보상 시스템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지만 삭제가 불가능해 임시조치가 가능할 것을 요구하는 현행 법과 조화를 이뤄야 하는 문제가 있다.

포털이 기사를 자신의 사이트에서 보여주는 ‘인링크’ 방식 대신 뉴스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로 옮겨가는 ‘아웃링크’도 대안으로 거론된다. 포털에서 한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기사에 댓글을 달 수 있다면 아웃링크 방식에선 언론사 사이트에 로그인해야 하기 때문에 약간의 ‘허들’이 생기게 된다. 김서중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좋은 상품(기사)을 생산한 회사가 어디인지 알고 신뢰를 형성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포털들의 ‘기사 장사’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용자들의 체류 시간을 늘리려 뉴스에 댓글을 달고, 댓글 수를 노출시켜 다시 유입자를 늘려왔지만 그 부작용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