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대형 상어 출몰’ 주의보…해수욕장 등 사고 예방 조치 강화

2024.06.25 11:22

청상아리.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청상아리.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으로 올 여름 동해안에 대형 상어류 출몰이 잦을 것으로 예측됐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해수욕장 등에서 인명 사고 우려가 커짐에 따라 상어 출몰 방지 그물망과 퇴치기 설치 등 안전사고 예방 조치를 강화할 계획이다.

25일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수과원)에 따르면 수온 상승으로 올 여름 동해안에 상어류 주먹이인 방어와 삼치 등 난류성 어종 유입이 늘면서, 먹이를 쫓아 동해 연안으로 들어오는 대형 상어류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과원이 우리나라 해역의 표층 수온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 20년(2001∼2020년) 대비 동해 수온은 1.3도, 서해 0.7도, 남해 0.5도 등으로 각각 상승했다. 올 여름에도 동해를 포함한 우리나라 바다 수온은 평년 대비 1도가량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난류성 어종들의 동해안 유입도 꾸준히 늘고 있다. 동해안 방어류 어획량은 지난 30년 전(1994∼2003년) 평균 1265톤(t)에서 최근 10년(2014∼2023년) 평균 6709t으로 약 43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갱이 어획량은 1077t에서 5333t으로 395%, 삼치는 331t에서 4605t으로 1291% 폭증했다.

먹이를 따라 온 상어류 출몰도 늘고 있다. 어업인들이 조업을 하던 중 혼획된 상어는 2020년 1마리에 그쳤으나 지난해 14마리로 크게 늘었고, 올해는 이날 기준 벌써 14마리(청상아리 7건, 악상어 5건, 백상아리 1건, 청새리상어 1건)가 혼획됐다.

수과원은 지난해 상어 출현 신고가 7∼8월에 집중된 것에 비춰, 올해 상어 출현과 혼획 건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또 동해 등에 출몰하는 상어류에 대한 생태 정보가 부족하다고 보고, 강원대와 상어류의 출몰 증가에 따른 해수 속의 환경DNA(eDNA)를 분석해 동해안 상어류의 분포 특성을 심층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상어 출몰에 대비해 상어 출몰 방지 그물망과 퇴치기 설치 등 해수욕장 안전사고 예방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동해안 해수욕장 등에 상어 방지 그물망과 안내판 등을 설치하고, 미세 전류나 음파 등으로 상어를 쫓는 퇴치기를 배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상아리.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백상아리.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