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은 총재 “물가 2~3개월 후 안정 전망···0.25%P 인상 바람직”

2022.08.01 16:59 입력 2022.08.01 17:06 수정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한국은행이 이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겠다는 뜻을 시사했다.

한국은행은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업무현황 보고서에서 “향후 물가와 성장 흐름이 현재 전망하고 있는 경로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이날 기재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유가 등 해외 요인에 변화가 없다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를 넘어 (상승세가) 2∼3개월 지속한 뒤 조금씩 안정될 것으로 본다”며 “(이 기조가 유지되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올려 물가 상승세를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은은 지난달 사상 최초로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으나 오는 25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선 ‘베이비스텝’(금리를 한번에 0.25%포인트 인상하는 것)을 밟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 총재는 “물가가 예상했던 기조에서 벗어나면, 금리 인상의 폭과 크기를 그때 가서 데이터를 보고 결정하겠다”라며 “빅스텝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김영선 의원(국민의힘)이 ‘기준금리 인상은 이자 부담 등 서민 고통을 키운다’고 지적하자 이 총재는 “물가 오름세(인플레이션)를 잡지 못하면 국민의 실질소득이 더 떨어지고, 뒤에 (물가 상승세를) 잡으려면 더 큰 비용이 수반된다”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정말 어두운 마음으로 금리를 통해서라도 인플레이션 심리를 꺾는 것이 거시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라며 “취약계층 문제는 경제부총리께서 말씀하신 대로 재정을 통해 선별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이 닥칠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는 “(한은이) 2분기 경제성장률을 0.3% 정도로 전망했는데, 실제로는 소비가 훨씬 더 많이 늘어 0.7%로 나왔다. 아직 국내 경기는 크게 나빠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지금 상황으로 볼 때, 내년 경제성장률이 2%를 밑돌 가능성은 (크지 않아) 아직 지켜보고 있다”며 “그런 의미에서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지금 확답하기에는 조금 이르다. 10월쯤 해외 자료를 보고 판단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