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난 ‘관피아 사외이사’…3명 중 1명은 전직 검사님

2023.03.20 06:00 입력 2023.03.20 09:38 수정

30대 그룹 주요 상장사 180곳

신규 선임의 38.8%가 관료 출신

그간 최다였던 ‘학계’는 2위로

“정권과 밀착 땐 제도 취지 훼손”

서울시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의 모습. 이준헌 기자

서울시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의 모습. 이준헌 기자

올해 국내 주요 기업들이 새로 선임한 사외이사 중 38.8%가 관료 출신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관료 출신 사외이사 3명 중 1명은 윤석열 대통령과 같은 검찰에 몸담았다.

19일 경향신문이 국내 30대 그룹 주요 상장사 180곳을 대상으로 올해 정기 주주총회에서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 후보 116명(다른 업체 사외이사를 겸임한 경우 복수로 계산)의 이력을 분석한 결과, 관료 출신이 45명으로 38.8% 비중을 차지했다. 사외이사 직군 순위에서 그동안 1위였던 학계 출신은 40명으로 34.5%를 기록해 두번째로 많았다.

관료 출신 비중이 높아진 이유는 검찰 출신 사외이사가 늘어난 영향이 크다. 관료 출신 사외이사 가운데 검찰 출신은 14명으로 31.1%로 집계됐다. 대표적으로 삼성SDS는 지난 15일 문무일 전 검찰총장을 사외이사에 선임했다. HL만도와 한화시스템은 윤 대통령의 사법연수원 동기이자 대검찰청 차장검사를 지낸 강남일·구본선 변호사를 각각 사외이사 후보로 올렸다.

검찰 고위직을 지낸 이동열 전 서울서부지검장(대한전선·현대위아), 차경환 전 수원지검장(롯데케미칼·현대건설기계), 권순범 전 대구고검장(고려아연), 이상호 전 대전지검장(이마트)도 주요 기업 사외이사에 내정됐다.

법원·공정거래위원회·기획재정부 출신도 각각 6명씩 신규 사외이사에 지명됐다. 국세청과 산업통상자원부 출신도 각각 5명과 4명이었다. 이들이 근무한 기관은 기업 경영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법 혹은 규제 기관이다.

검찰 출신 영입 움직임은 윤 대통령이 유력 대선 후보로 부상한 지난해부터 가속화됐다. 일례로 김준규 전 검찰총장(삼성카드), 조상철 전 서울고검장(롯데쇼핑), 권익환 전 서울남부지검장(한화) 등이 주요 기업 사외이사에 선임됐다.

노종화 경제개혁연대 정책위원은 “기업들이 지배구조 개선보다 정권과 가까워지기 위해 검찰 출신을 의도적으로 선임할 경우 사외이사 제도 도입 취지가 훼손될 수 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