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큰 고래는?”…돌발 질문도 OK, 구글 제미나이 품은 LG 로봇 클로이

2024.06.27 21:21

‘구글 클라우드 서밋’에서 첫 공개

질문 스스로 생성, 대화 능력 강화

“가장 큰 고래는?”…돌발 질문도 OK, 구글 제미나이 품은 LG 로봇 클로이

LG전자 로봇에 구글의 인공지능(AI)이 실렸다. LG전자는 구글의 거대언어모델(LLM) ‘제미나이’를 탑재한 ‘LG 클로이(CLOi·사진)’를 27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 2024’에서 처음 공개했다.

이날 LG 클로이 로봇은 고객의 질문에 자연스럽게 답변하는 AI 챗봇 기능 등을 시연했다. 클로이 로봇에 생성형 AI가 탑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제미나이는 오픈AI의 챗GPT에 맞서기 위해 구글이 지난해 말 내놓은 AI 모델이다. 텍스트를 비롯해 음성·이미지·코딩 등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 기능을 갖췄다. LG전자는 올해 중 제미나이를 탑재한 안내로봇 ‘LG 클로이 가이드봇’을 공식 출시할 예정이다.

클로이는 LG전자의 로봇 브랜드다. 은행·공공기관·기업 등 건물 로비에 배치된 안내 로봇이 대표적이다. 이 로봇은 사전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객 안내를 수행할 수 있으나 등록되지 않은 질문에 대해서는 답변이 한정적이었다.

LG전자는 “생성형 AI로 언어능력을 강화한 클로이 로봇은 고객과의 대화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문을 스스로 생성해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강화한다”며 “사전에 예측하지 못한 돌발 질문에도 자연스러운 답변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예컨대 기존에는 ‘운영시간을 알려줘’라고 질문하면 사전 입력된 답변을 전달하는 데 그쳤다. 생성형 AI가 적용된 클로이는 “언제까지 입장 가능해?” “오늘 영업 중이야?” 등 다양한 형태의 질문에도 답할 수 있다. 또 “가장 큰 고래는 뭐야?” 같은, 업무와 무관한 돌발 질문에도 “가장 큰 고래는 대왕고래로 몸길이가 24~33m까지 자란다”고 자연스럽게 답한다.

이번 협력은 자체 AI 생태계를 확대하려는 구글과 하드웨어의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LG전자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로 풀이된다.

구글은 오픈AI와 메타 같은 경쟁사들과 AI 패권을 놓고 경쟁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 ‘갤럭시AI’에도 제미나이를 제공한 바 있으며 애플과도 협력을 논의하는 등 자체 AI 생태계를 구축 중이다. LG전자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구글 같은 빅테크와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