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어린이·청소년 76% “기후위기로 불안해요”···“폭염·한파, 유해환경 증가”

2024.03.12 14:10 입력 2024.03.12 14:49 수정

기후위기 취약계층 어린이 대상 설문조사. 환경재단 제공.

기후위기 취약계층 어린이 대상 설문조사. 환경재단 제공.

저소득층 어린이·청소년 4명 중 3명은 기후위기로 인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환경재단은 지난달 26일부터 지난 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저소득층 어린이·청소년 76.3%가 기후위기로 인해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설문은 총 101가정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비대면으로 진행됐다. 조사 대상 어린이·청소년의 연령대는 만 5~12세 63.4%, 만 13~18세 36.6%다.

구체적으로 ‘기후위기로 인해 불안감과 무서움을 느낀 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24.8%가 ‘매우 그렇다’고 답했고, 51.5%가 ‘그렇다’고 답했다. 불안감을 느끼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23.7%에 그쳤다. 또 전체 응답자의 94.1%는 기후위기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환경재단은 응답자 중 74.3%는 기후위기로 인한 주거환경의 변화를 체감하고 있다고 답했다. ‘자신의 집이 기후위기 때문에 변화된 것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19.8%가 ‘매우 그렇다’고 답했고, 54.5%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기후위기로 인해 가정환경이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해 복수 응답이 가능하도록 물은 질문에는 폭염과 한파(59.4%), 해충 증가(33.7%), 폭우로 인한 침수와 곰팡이 등 유해환경 증가(27.7%) 등을 꼽았다.

저소득층 어린이·청소년들은 기후위기에 따라 필요한 지원으로 현금(37.6%), 제습기 등 물품(32.7%), 방역 및 청소 서비스(16.8%)를 우선순위로 꼽았다. 기성세대의 기후위기 대응 노력에 대해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위기를 위해 어른들이 노력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48.5%가 ‘그렇다’, 7.9%가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아니다’(34.7%)와 ‘매우 아니다’(8.9%)라고 답한 비율은 합계 43.6%로 집계됐다.

환경재단은 “이번 설문을 통해 기후위기로 인해 취약계층 아이들에 대한 지원이 시급하다는 걸 확인했다”며 “기후재난에 직면한 취약계층 아이들이 겪는 불평등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후위기 아동지원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