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 정국에 경기도 분도론 또 다시 제기

2017.02.01 13:50 입력 2017.02.01 13:55 수정

매번 선거때면 단골 메뉴로 등장하는 경기도 ‘분도(分道)론’이 조기 대선 정국에 또 다시 불거졌다. 경기도는 31개 시·군이 있는데 서울을 중심축으로 남부(21개 시·군)와 북부(10개 시·군)로 나뉘어 있다. 현재 북부지역에는 경기도 북부청사,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를 비롯해 법원과 검찰이 이미 독립했고 경찰도 지난해 경기북부지방경찰청으로 독립하면서 독자적인 교육·행정·사법체계를 갖추고 있다.

불씨는 경기도지사를 지낸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가 지폈다. 손 전 대표는 지난달 의정부시에 있는 경기도북부청사를 방문한 자리에서 “경기도 북부지역 10개 시·군을 하나로 묶는 경기도 분도를 적극 추진할 때가 됐다”며 분도론을 제기했다. 손 전 대표는 “도지사를 할 때도 분도 얘기가 있었으나 그 때는 기반이 갖춰져 있지 않아 반대했다”며 “그러나 지금은 북부지역의 인구가 330만명으로 서울, 경기남부, 부산 다음으로 많고 파주 LCD단지 등 인프라를 갖춰 광역단체로 독립돼야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북부지역 시민들은 손 전 대표의 분도론에 대해 대체로 환영하고 있다. 일부 시민단체들은 분도를 공약한 손 전 대표를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런 움직임은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제 제17대 대선 1년 전인 2006년에 ‘의정부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등 경기북부 5개 시민단체가 ‘경기북도 신설 운동 연합회’를 발족, 분도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한바 있다. 제16대 대선을 한달 앞둔 2002년 11월에도 ‘경기북부 10개 시·군 의장단협의회’가 ‘경기북도 분도 촉구 건의문’을 채택했으며 총선을 1년 앞둔 이듬해 ‘경기도 분도 추진위원회’가 결성되기도 했다. 분도론이 처음 제기된 것은 제13대 대선을 앞둔 1987년이다. 당시 여당인 민정당이 대선 공약으로 제시했고 이후 대선, 총선, 지방선거 등 각종 선거 때마다 단골메뉴가 됐다.

분도론이 선거 때마다 단골메뉴가 된 것은 무엇보다 경기북부가 접경지라는 지리적 특수성으로 그동안 개발에서 소외됐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수도권정비계획법, 군사시설보호법, 그린벨트, 상수원보호구역 등 각종 규제까지 받아야했다. 서울을 사이에 두고 있어 경기남부와 경기북부는 지역 정서가 다르다는 요인도 작용했다. 이와 함께 인구와 면적이 광역단체로서 면모를 갖췄지만 사실상 북부를 관할하는 경기도 제2청사의 기능이 제한돼 북부의 독자적인 개발 정책을 수행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분도론의 배경이 됐다.

경기북부 10개 시·군의 면적은 4305㎢로 충청북도와 비슷하고, 인구는 17개 광역단체중 5번째에 해당한다. 경기북부 10개 시·군의 인구는 333만1747명으로, 서울(993만616명), 경기남부(21개 시·군 938만5033명), 부산(349만8529명), 경남(337만3871명) 다음으로 많다. 특히 경기북부 인구는 1990년 134만명, 2000년 234만명, 2010년 300만명에 이어 올해 333만명으로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