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무명열사 41년 만에 신원 확인…계엄군 발포로 숨진 30세 남성

2021.06.15 11:34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의 무명열사 묘.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의 무명열사 묘.

5·18민주화운동 당시 사망했지만 신원이 밝혀지지 않아 이름 없이 묻혔던 무명열사 1명의 신원이 41년 만에 확인됐다.

15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국립5·18민주묘지에 무명열사로 안치된 5기의 유골 가운데 1기(묘 4-90)의 신원을 확인했다. 5·18진상규명위는 이날 오후 2시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유전자분석을 통해 유가족과 DNA가 일치해 가족관계로 확인된 남성은 당시 만 30세 였던 A씨인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1980년 5월 광주에 머물다 5월20일 밤, 광주역 앞에서 계엄군이 쏜 총에 맞아 복부에 큰 부상을 입었다.

광주에 투입됐던 3공수는 당시 광주역 앞에서 시민들에게 첫 집단발포를 자행했다. 이 발포로 최소 4명의 시민들이 숨지고 6명이 부상을 입었다. 1995년 5·18사건을 수사한 검찰은 광주역 부상사 중 25∼30세로 추정되는 ‘성명불상자’가 있다고 발표했는데 이 부상자가 A씨였을 가능성이 높다.

A씨는 당시 광주 동구 적십자병원으로 옮겨져 응급수술을 받았지만 이틀 뒤 숨졌다. 숨진 A씨의 시신은 옛 전남도청으로 옮겨진 뒤 무명열사로 옛 망월동 묘역에 묻혔다. 5·18진상규명위는 적십자병원에 남아있는 A씨의 의료기록을 추적, 이름이 비슷한 사람에 대해 행방불명자 신고가 접수됐던 사실을 확인하고 추가 조사를 통해 가족을 찾은 것으로 전해졌다.

A씨처럼 5·18당시 신원을 확인하지 못하고 매장된 무명열사는 당초 모두 11명 이었다. 이 가운데 6명은 2001년 망월동 구묘역에서 5·18민주묘지로 이장하는 과정에서 유전자 검사를 통해 신원이 확인됐다. A씨의 신원이 확인되면서 남은 5·18무명열사는 4명이 남았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