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비정규직 “20일부터 총파업”

2014.11.17 21:37 입력 2014.11.17 21:54 수정

호봉제 등 처우개선 요구… 학교급식 등 차질 예상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대규모 파업을 예고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17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비정규직 처우 개선 대책 수립을 촉구했으나 정부와 교육당국은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며 “이달 20~21일 이틀간 전국에서 총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3만원 호봉제 도입’ ‘명절휴가비 120%’ ‘상여금 100% 보장’ ‘정액급식비 도입’ 등 5대 요구를 내걸었다. 배동산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정책국장은 “근속에 따른 임금 인상 차원에서 호봉제를 도입해야 한다. 최소한 가산금 상한선을 없애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2014년 기준 학교 비정규직은 근속 3년차 5만원부터 시작해 매년 2만원씩 늘어나는 장기근무 가산금을 받고 있다. 가산금은 근속 10년차부터 19만원으로 지급이 제한된다.

연대회의는 정규직 교원과 차이가 큰 명절휴가비 정상화도 요구했다. 현재 대부분 시·도교육청에선 설날과 추석 두 차례에 걸쳐 명절휴가비로 40만원을 지급한다. 서울시는 절반인 20만원 수준이다. 연대회의는 “정규직과 같이 기본급의 120% 수준으로 지급해야 한다”고 했다. 연대회의는 방학 기간 임금 미지급 대책 수립도 요구하고 있다.

공공운수노조에 따르면 2013년 현재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는 37만6000명으로 전체 교직원 86만5000명의 43%다. 지난 7월 교육부가 발표한 학교 회계직원(비정규직) 실태조사에서 10년차 비정규직 한 달 급여는 169만~188만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대회의는 “교육현장에 가장 많은 비정규직이 있고, 차별의 정도도 가장 심각하다”고 말했다. 연대회의는 “(정부와 시·도교육청이 요구를 수용하지 않으면) 전국 7000여개 국공립학교 소속 조합원 2만명가량이 파업에 참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중 60∼70%가 유치원과 초·중·고교 급식실에서 근무하고 있어 급식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