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준비청년 절반 “자살 생각한 적 있다”

2024.06.26 21:09

46.5%로 마음 건강 적신호…전체 청년보다 4.4배 많아

고립 비율 높고 삶 만족도 ‘뚝’…정부엔 경제 지원 원해

자립준비청년의 절반 가까이가 ‘한 번이라도 자살을 생각해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자립준비청년들의 마음건강이 위태롭다는 뜻이어서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보건복지부는 26일 자립준비청년의 건강과 교육, 고용 등 자립 실태와 지원 욕구를 조사한 ‘2023 자립지원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자립준비청년은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 등 보호를 받다가 만 18세가 되며 보호가 종료된 청년이다. 이번에는 보호종료 후 5년 이내 자립준비청년 중 절반가량인 5032명이 참여했다.

자립준비청년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는 평균 10점 만점에 5.6점으로, 지난 조사(5.3점)보다는 높아졌지만 전체 청년(6.72점)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자립준비청년 중 평생 한 번이라도 자살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46.5%에 달했다. 2020년(50%)보다 3.5%포인트 줄었으나, 전체 청년(10.5%)보다는 4.4배 많았다.

최근 1년간 심각하게 자살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고 답한 비율도 18.3%나 됐다.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한 주된 이유로는 우울증 등 정신과적 문제가 30.7%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는 경제적 문제(28.7%), 가정생활 문제(12.3%), 학업·취업 문제(7.3%) 순이었다. 자립준비청년은 자살 생각이 들 때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도움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친구나 멘토(30.3%), 운동·취미 등 지원(24.7%), 심리상담 지원(11.0%), 정신과 치료 지원(9.6%)을 들었다.

고립·은둔을 경험하는 비율도 높았다. 자립준비청년 중 ‘보통 집에 있거나 집(방) 밖으로 안 나간다’는 응답자는 10.6%로 전체 청년(2.8%)의 약 3.8배였다. 집에 머무르는 주된 이유는 취업 문제(30.7%), 인간관계 문제(15.2%), 건강 문제(8.1%) 등이었다.

자립준비청년의 주거 환경을 조사한 결과 1인 가구가 69.5%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주거 형태별로는 절반가량(45.3%)이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했다. 그다음으로 월세(21.2%), 친척 집(6.9%), 전세(5.5%), 기숙사·학사(4.4%) 순으로 나타났다. 자립준비청년은 가장 필요한 주거 지원으로 ‘주거비 지원’(40.2%)을 꼽았다.

자립준비청년의 월평균 소득은 165만원으로, 2020년(127만원)보다 38만원 늘었다. 월평균 생활비는 108만원이었다. 고용률은 52.4%로 2020년(42.2%)보다 10.2%포인트 상승했지만, 20~29세 전체 청년 고용률(61.3%)보다는 낮았다. 자립준비청년 중 실업자는 15.8%로 2020년(28.2%)보다 줄었지만, 20~29세 전체 청년 실업률(5.3%)보다는 높았다.

정부의 자립준비청년 지원 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6점이었다. 보호종료 후 자립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경제적 지원(68.2%), 주거 지원(20.2%), 진로상담·취업 지원(3.4%), 건강 지원(2.5%) 등을 꼽았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