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명당에서 결혼식 올려볼까

2024.06.27 06:00

박물관 등 공공시설 48곳

정부, 예식 공간 추가 개방

서울 용산구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전경. 한국관광공사 제공

서울 용산구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전경. 한국관광공사 제공

전북 정읍에 있는 내장산국립공원 단풍생태공원은 푸른 하늘과 맞닿은 넓은 잔디광장이 매력적이다. 국내 대표적인 단풍 명소이자 내장호가 인접해 있어 볼거리가 많다. 오는 9월부터 이곳에서 결혼식을 올릴 수 있다. 11만5000원에 장시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내년 3월부터는 서울 용산의 국립중앙박물관 전통마당에서도 결혼식을 할 수 있다. 하객들은 박물관 내 식당을 이용하고 예식 전후로 박물관 정원을 산책할 수 있다.

정부는 26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공공시설 48곳을 ‘청년 맞춤형 공공 예식장’으로 추가 개방한다고 밝혔다. 예식장을 빌리는 데 어려움을 겪는 예비부부들이 저렴하면서도 개성을 담은 결혼식을 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취지다.

기존 91곳에 더해 이번에 새로 개방되는 곳은 국립중앙박물관·국립민속박물관·국립현대미술관 등 국립시설 5곳과 내장산·덕유산·지리산·설악산 등 국립공원 야외공간 10곳, 세종 호수공원·청주 미동산수목원 등 지방자치단체 관할 시설 12곳과 공공기관 연수원·대강당 등 21곳이다.

수용 인원은 장소별로 50명에서 400명까지 다양하다. 대관료는 시설 면적과 장비 지원 등을 고려해 시설별로 무료에서 최대 56만원까지로 책정됐다.

전국 공공 예식장 정보 검색과 예약은 다음달 1일부터 ‘공유누리’ 홈페이지(www.eshare.go.kr)에서 할 수 있다. 시설별 이용 금액과 수용 가능 인원, 피로연 가능 여부 등 정보를 조회한 뒤 원하는 장소와 대관 일자를 선택해 예약하면 된다.

정부는 청년들이 원하는 공간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2027년 말까지 200개 이상의 공공시설을 예식 공간으로 개방할 계획이다.

또 예비부부가 식장 꾸밈·식음료 제공 업체를 별도로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도록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별 관련 업체에 대한 정보도 안내할 예정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