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시도 휘청인다···부산, 광역시 중 처음 ‘인구 소멸위험’ 진입

2024.06.28 17:05

부산시청. 경향신문 자료사진

부산시청. 경향신문 자료사진

인구 감소로 부산이 광역시 중 처음으로 ‘소멸위험단계’에 진입했다.

고용정보원이 28일 발간한 ‘지역산업과 고용’ 여름호를 보면,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주민등록인구통계를 분석해 지난 3월 기준 각 지방자치단체의 소멸위험지수를 분석했다.

소멸위험지수란 20~39세 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값이다. 일본 사회학자 마스다 히로야가 제안한 개념이다. 소멸위험지수가 0.2∼0.5면 ‘소멸 위험’, 0.2 미만이면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된다.

지난 3월 17개 광역시·도의 평균 소멸위험지수는 0.615였다. 전남(0.349), 경북(0.346), 강원(0.388), 전북(0.394), 경남(0.444), 충남(0.464), 충북(0.487)은 소멸위험단계에 해당했다.

광역시 중에서는 부산이 0.490로 처음으로 소멸위험단계가 됐다. 이 연구위원은 “2050년까지의 부산 인구추계 자료를 보면, 기준인 2020년에는 위쪽(고연령층)이 불룩한 항아리 모양을 띠고 있지만 불과 30년 후에 역삼각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바뀐다”며 “30년 후에 부산의 전체인구는 약 4분의 1이 감소하는데, 20~30대 여성 인구는 절반 이상 감소하고 65세 이상 인구는 3분의 2 정도 증가한다.

시·군·구 기준으로 보면 288개 자치단체 중 130곳(57.0%)이 소멸위험단계에 해당했다. 새로 소멸위험단계가 된 곳은 11곳으로, 이 중 8곳이 광역시의 구·군 지역이었다. 부산 북구·사상구·해운대구·동래구 등 4개 구, 대전은 중구·동구 2개 구, 대구 동구 1개 구, 울산 울주군 등이다. 광역시도 인구소멸 위기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새로 소멸위험단계가 된 곳 중 광역시 구·군이 아닌 곳은 전남 목포와 무안, 충북 증평이다.

이 연구위원은 “소멸위험지역이 최근까지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저출생 대책과 마찬가지로 지방소멸 대책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지방에서도 다양한 인재들이 자신의 재능을 꽃피울 수 있도록 다층적 공간 수준에서 산업-교육-주거-복지-문화를 일자리와 연계하는 융복합 전략이 씨줄과 날줄처럼 엮여야 한다”고 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