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산책

둘이 하나가 된 이름 ‘부부’

2022.05.16 03:00 입력 2022.05.16 03:04 수정

오는 21일은 둘(2)이 하나(1)가 된 부부의날이다. ‘부부는 무촌’이라고 했다. 남남으로 세상 밖에 나왔으니 본래는 아주 막연한 사이다. 하지만 둘이 만나 남자는 한 집안의 백년손님이 되고 여자는 한 집안의 귀신이 될 사람이니, 세상에 이보다 막역한 사이도 없다. 예로 서로를 존중하고, 정으로 서로를 살뜰히 아껴야 하는 관계가 부부다.

그러자면 오가는 말부터 고와야 한다. “야, 이 여편네야” 따위처럼 아내를 낮잡아 이르는 말을 쓰지 말아야 한다는 얘기다. ‘마누라’도 조심해서 써야 한다. ‘마누라’는 아내를 허물없이 이르는 말이므로 둘만 있을 때는 “마누라, 고마워”처럼 쓸 수 있다. 그러나 ‘마누라’는 “중년이 넘은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따라서 친구들과 어울리며 “마누라 등쌀에 못 살겠다”처럼 쓰는 것은 좋지 않다. 익숙함에 젖어 소중함을 잊어버린 언행이다.

친구들 앞에서 “어부인이 부르셔서 그만 들어가야겠다” 따위처럼 자신의 아내를 ‘어부인’으로 불러서도 안 된다. ‘어부인’은 영부인(남의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의 사투리나 일본말 찌꺼기로 다뤄지는 말이기 때문이다. “우리 부인이 일찍 들어오래”처럼 ‘부인’을 써서도 안 된다. 부인 역시 “남의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이다.

가족이 아닌 남에게 자신의 아내를 얘기할 때는 일반적으로 ‘집사람’ ‘안사람’ ‘아내’ ‘처’ ‘애엄마’ 중에서 편한 것을 쓰면 된다. 만약 자신의 아내를 잘 아는 사람이라면 자녀의 이름 뒤에 ‘어머니’나 ‘엄마’를 붙여도 된다.

아내가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는 ‘남편’ ‘애아버지’ ‘애아빠’를 쓸 수 있다. 남편을 잘 아는 사람이라면 자녀 이름 뒤에 ‘아버지’ 또는 ‘아빠’를 붙여 쓰거나 ‘바깥양반’과 ‘바깥사람’을 써도 된다. “우리 그이는 나밖에 몰라”처럼 ‘그이’를 쓸 수도 있다. 아울러 신혼 초에는 ‘우리 신랑’이라고 하고, 나이가 들어서는 ‘우리 영감’이라고 써도 된다. 하지만 ‘우리 자기’나 남편의 직함을 붙인 ‘우리 부장’ 등으로 지칭해서는 안 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