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공사 사장 “5월에 글로벌 메이저 석유회사가 액트지오 데이터 검증”

2024.06.19 16:29 입력 2024.06.19 17:30 수정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이 19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현안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이 19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기자실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현안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을 총괄하는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은 19일 “사업 설명서 발송 전임에도 5곳의 글로벌 메이저 석유회사들이 긍정적인 관심을 표명하고 있고 이 중에는 국영회사도 있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브리핑에서 “관심을 표명하는 글로벌 회사들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사장은 “5월 초 세계적인 메이저 석유회사 중 한 곳과 접촉해 비밀준수 계약을 체결한 뒤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 데이터 일부를 공유해 추가 검증했다”고 말했다. 정부와 석유공사가 미 액트지오사가 분석한 결과를 국내·외 전문가 그룹을 통해 교차 검증했다고 밝힌 적은 있지만 글로벌 메이저 기업의 검증 참여 사실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사장은 “동해 가스전의 유망성을 높이 평가한 이 회사는 내부 검토를 거쳐 공사 측에 사업 참여 관심을 밝혀왔다”며 “비밀유지 의무 탓에 이름을 공개하지는 못하지만 말하면 금방 알 기업”이라고 했다.

김 사장은 또한 “정부의 (동해 가스전 개발 공식) 발표 이후 (추가로) 글로벌 메이저 석유회사 4곳에서 긍정적인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정부와 석유공사는 지난 3일 액트지오사의 자문을 바탕으로 동해에 상당량의 석유와 가스 매장 가능성이 있는 7개의 유망구조를 찾았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오는 7월 첫 탐사시추 대상지를 선정해 12월에 첫 탐사시추를 하겠다고 밝혔다. 앞으로 5년간 최소 5개의 시추공을 뚫겠다는 계획인데 시추공 1개에 1000억원씩 총 5000억원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 사장은 “동해 심해 가스전은 대규모 투자비가 소요되는 심해 프로젝트의 특성상 리스크 분산과 투자비 부담 완화를 위해 투자 유치가 필요하다”며 “성공적인 투자 유치를 위해 심해 탐사 기술력과 자금력을 갖춘 글로벌 석유기업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일반적인 투자 유치 절차가 ▲공식 사업설명서 송부 ▲관심 표명 기업과 비밀 준수계약 체결 ▲사업설명회 및 자료 열람 ▲참여 의향 접수 ▲우선협상자 선정 및 계약 협상 ▲계약 체결 단계로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절차가 완료되는데 최소 6개월이 소요된다고 한다.

이 때문에 정부가 기존 일정을 고수할 경우 첫 탐사시추는 해외 메이저 기업의 투자없이 한국 단독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투자 유치 절차를 고려하면 글로벌 메이저 회사의 참여는 빨라도 내년 중반은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김 사장은 첫 탐사시추가 석유공사 단독으로 진행될 가능성에 대해 “그 옵션(해외 투자 유치)은 살아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시간상으로는 굉장히 급하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오는 21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석유공사 경영진, 민간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회의를 열어 해외 기업 투자 유치 전략을 논의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