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민간항공기구, 북한 GPS 교란에 “우려 표명·재발방지 촉구”

2024.06.24 17:09

ICAO 이사회 의장 명의 서한 발송

북한을 GPS 교란 주체 명시는 처음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23일 바라본 북한 기정동 마을의 인공기가 바람에 나부끼고 있다. 김창길 기자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23일 바라본 북한 기정동 마을의 인공기가 바람에 나부끼고 있다. 김창길 기자

유엔 산하 국제기구가 최근 북한의 위성항법장치(GPS) 전파 교란 행위에 우려를 표명하고 재발 방지를 촉구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지난 10~21일(현지시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제232차 이사회에서 북한의 GPS 교란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결정을 채택했다고 외교부가 24일 밝혔다. ICAO는 이사회 의장 명의로 된 서한을 통해 이번 결정을 북한에 통보키로 했다. 앞서 한국 정부는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2일까지 북한의 GPS 신호 교란으로 20개 국가·지역의 500대 민간항공기가 영향을 받자 이를 ICAO에 정식 문제 제기를 제기했다.

특히 ICAO는 이번 결정을 채택하면서 북한을 GPS 신호 교란 행위의 주체로 지목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ICAO는 2012년과 2016년에도 북한의 GPS 신호 교란을 두고 우려를 표시하는 결정을 내렸으나, 당시에는 행위 주체가 북한이라는 점을 명시하지 않았다.

외교부는 “이번 ICAO 이사회 결정문에 GPS 신호 교란의 행위와 관련해 북한이 명시된 것은 북한에 ICAO 차원의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일 뿐 아니라 항공 안전 측면에서 북한 행동의 위험성에 대해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정부는 앞으로 북한의 행동을 예의주시하면서 GPS 신호 교란 행위 같은 도발에 대해서는 국제사회와 협력 하에 엄중하고 단합된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예정“이라고 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