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한국 정부 ‘반러 발언’ 용납 안 돼”

2024.06.27 20:59 입력 2024.06.27 21:01 수정

북·러 조약 비판 메시지 두고
러 외교차관, 주러대사 면담
우크라 살상무기 지원 견제

외교부 “엄중한 우려 표명”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교부 차관이 이도훈 주러시아 대사를 만나 “한국 정부 고위 당국자들의 ‘반러시아적’ 발언을 용납할 수 없다”며 한국의 대결적 정책을 재검토하라고 말했다. 한국이 북·러 조약 체결을 비판하는 강경 메시지를 내놓자 러시아 당국이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러시아 외교부는 26일(현지시간) 루덴코 차관이 외교부 청사에서 이 대사와 면담했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러시아 측은 면담에서 “한국 고위 당국자들이 용납할 수 없는 반러시아적 발언을 했다”며 한국이 한반도의 긴장 고조를 촉발하는 대결적인 정책을 재검토할 것을 촉구했다. 또 “수십년 동안 쌓아온 건설적인 (한·러) 협력의 산물이 파괴되는 것은 현재 한국 지도부 탓”이라고도 했다. 러시아 측은 자국과 북한이 한반도의 평화·안보를 위협한다는 비판을 두고는 “근거 없는 비난”이라고 일축했다.

이는 한국 측이 국내는 물론 국제무대에서 러시아와 북한에 대한 비판 목소리를 이어간 것에 대한 반발로 풀이된다.

한국 외교부는 27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 대사가 루덴코 차관과의 면담에서 “북한의 군사력 증강에 도움을 주는 어떠한 협력도 우리의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라며 북·러 조약에 엄중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측은 한국의 대응에 유감을 표하면서도, 북·러 협력은 한국을 겨냥한 게 아니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러시아 측이 자국의 강경 발언을 공개하긴 했으나, 이 대사와의 만남을 ‘초치’가 아닌 ‘면담’으로 표현한 점은 주목된다. 초치는 보통 항의성 행위에 붙이는 표현이다. 이 때문에 러시아 측이 한·러관계 관리를 위해 수위를 조절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러시아 측이 한국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살상무기 지원을 막기 위해 강온 전략을 구사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앞서 전날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교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한국의 살상무기 지원 가능성을 두고 “러시아와 한국의 관계에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한국의 성급한 조치에 대해 경고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에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러관계에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러시아 측이 실수하지 말 것을 경고한다”고 맞받았다.

정부는 미국 등으로부터 우크라이나 살상무기 등 지원 요청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7월9~11일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되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의에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한다면 같은 요구를 받을 수 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