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 연설 내내 야유·고성… 민주 경선 끝까지 ‘절반의 축제’

2012.09.16 21:55 입력 2012.09.17 00:04 수정
고양 | 장은교 기자

완전국민경선 첫 도입, 관리 부실·불공정 문제로 얼룩

민주통합당 대선 경선은 끝까지 ‘절반의 축제’였다. 16일 오후, 마지막 경선장인 경기 고양체육관 앞에는 대회 전부터 경호요원들이 배치됐다. 전경 4개 중대도 진을 쳤다. 일부 당원·대의원들이 지도부의 경선 관리에 불만을 표시하며 소란을 피울 것에 대비한 조치였다.

장내 대형 스크린에는 “폭행이나 협박을 가해 투·개표를 소요하거나 교란하는 경우 10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을 받을 수 있다”는 경고 문구가 안내됐다. 투표 동안에도 출입구가 통제됐다.

지도부 연설 내내 야유가 계속 터졌다. “이해찬은 물러가라” “꼼수 모바일 폐지” “당비 반납” 등이 적힌 플래카드가 내걸렸다. 문재인 후보 지지자들은 “하나되면 이깁니다”라는 카드섹션을 했다.

개표 후 객석 분위기는 상반됐다. 문 후보 선출로 결정되던 순간, 김두관·손학규 후보 지지자들 상당수는 이미 자리를 뜬 상태였다.

경선 파행의 가장 큰 원인은 모바일 투표를 둘러싼 경선 관리의 전반적인 부실 때문이다. 민주당은 이번 경선에서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 “세계 정치 역사의 혁명”이라고 강조했다. 당초 모바일 투표는 더 많은 국민이 참여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로 도입됐다. 그러나 자발적 참여보다는 캠프별로 선거인단 모집·등록 경쟁이 벌어져, 결국 세 대결이 됐다.

관리 부실도 도마에 올랐다. 당은 중복·대리투표 문제점을 고치기 위해 공인인증서 확인 절차를 도입하는 등 시스템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모바일 투표 관리 업체가 선거인단 명부를 엑셀파일로 관리하는 등 보안에 취약했다. 모바일 투표에서 후보 기호를 끝까지 듣지 않고 중간에 먼저 번호를 누르면 무효처리된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맨 마지막 기호인 문 후보에게만 유리한 규칙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김두관·손학규·정세균 후보는 경선 중단을 선언했다.

‘국민 참여’를 강조하다보니, 대의원과 당원을 소외시킨다는 비판도 나왔다. 대의원과 당원, 시민선거인단이 모두 1표씩 행사했고 표 가치도 똑같다.

전국 순회투표에서도 현장연설을 하기도 전에 모바일 투표가 끝나, “묻지마 투표”라는 비아냥이 나왔다. 지도부는 선거인단 200만명 이상 참여를 목표로 하며, 20만명이었던 새누리당과의 차별화를 꾀했다. 최종 선거인단은 108만명이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