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노, ‘정권 탈환’ 대의로 다시 전면에

2012.09.16 21:55 입력 2012.09.17 10:04 수정

‘폐족에서 대선 전면으로.’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 경선 후보의 대선 후보 확정으로 친노무현(친노) 진영이 다시 전면에 나서게 됐다. 2007년 대선 패배 이후 세력 자체가 몰락했지만, 2010년 6·2 지방선거와 올해 4·11 총선에 이어 대선에까지 부활을 꿈꾸게 된 것이다.

친노 몰락은 노무현 전 대통령 퇴임과 함께 시작됐다. 노 전 대통령 최측근 중 한 명인 안희정 당시 참여정부평가포럼 상임위원장은 2007년 12월 “친노라고 표현되어온 우리는 폐족(廢族)”이라며 “우리가 어찌 이 책임을 면할 수 있겠느냐”고 밝혔다. 이어 최측근인 이광재·안희정을 비롯해 노 전 대통령 그 자신까지 검찰의 수사 대상에 올랐다.

당도 친노에 등을 돌렸다. 18대 총선에서 대부분 공천 탈락했고, 의원들도 대거 배지를 잃었다.

하지만 노 전 대통령 서거로 이들은 부활의 발판을 마련했다. ‘노무현 바람’이 전국적으로 다시 불었고, 친노는 뭉쳤다.

첫 무대는 2010년 6·2 지방선거였다. 이광재 전 강원지사, 안희정 충남지사, 김두관 경남지사 등 30여명의 단체장을 배출했고, 지방의원도 다수 당선시켰다.

지난해에는 야권 대통합에 불을 댕겼다. 이해찬 대표와 문 후보가 ‘혁신과 통합’ 깃발을 올렸고, 지난해 12월 민주당과 재결합했다. 올해 1·15 전당대회에서는 한명숙 대표가 선출되며 당권까지 잡았다.

4·11 총선에서 더욱 세력을 확대했다. 18대 국회에서 10명도 안됐던 친노 의원은 50여명으로 늘었다. 총선 패배로 한 대표가 사퇴하고, 잠깐 휘청했지만 6·9 전대에서 이해찬 후보가 당권을 잡았다. 친노의 대표로 문 후보가 대권에 도전하면서 친노는 정권탈환이라는 대의에 하나로 모였다.

하지만 ‘친노’라는 명찰은 질시와 미움의 대상이기도 했다. 비노·반노는 이들에게 ‘그들만의, 폐쇄적인 패밀리 의식’이라고 비판한다.

특히 이(해찬 대표)-박(지원 원내대표) 담합론을 시작으로 대선 경선에서 모바일 투표 불공정 문제 등이 불거지자 이 대표와 친노를 향해선 ‘패권주의’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문 후보가 당의 최종 대선 후보가 됐지만 친노의 부활인 ‘어게인 2002’는 아직 진행형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