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대북정책 방향 큰 변화 없다”

2010.09.28 22:13 입력 2010.09.28 23:43 수정

“예상됐던 수순” 반응 속 남북관계 영향에 촉각

정부는 북한의 노동당 대표자회를 계기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3남 김정은으로의 후계체제 공식화가 향후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웠다. 정부는 일단 후계구도 공식화에도 불구하고, 김 위원장 중심 체제는 유지되는 만큼 당장 남북관계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 당국자는 28일 “그동안 김정은으로의 권력승계가 관측으로만 존재했다면 이번에는 이를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면서 “후계체제에 대한 공식화의 시작”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당 대표자회를 앞두고 김정은에게 대장 칭호를 부여한 것도 그에게 군사 지도자의 지위를 부여하기 위한 조치”라고 분석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김정은 후계체제의 공식화는 예상했던 수순”이라며 “당장 정부의 대북 정책 방향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후계체제 공식화 이후 북한의 대외, 대남 정책 변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정은이 전면에 처음 등장한 것뿐 아니라 김 위원장이 노동당 총비서로 재추대된 것도 주목해야 한다”면서 “김 위원장이 권력을 유지하는 한 당분간 큰 정책적 변화가 이뤄질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아직은 권력이 김정은에게 넘어간 게 아닌 만큼, 김 위원장이 주도해온 정책 기조는 유지될 것이란 의미다. 이 관계자는 “후계체제 정착을 위해 대외관계의 안정이 필요한 만큼 도발적 대외정책은 당분간 자제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하지만 그것이 북핵 6자회담의 진전으로 바로 이어진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관측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후계 과정에서 변수가 생길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됐다. 한 정부 당국자는 김정은은 물론, 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경희 당 경공업부장 등에게도 인민군 대장 칭호가 함께 부여된 데 주목했다.

막후에서 후계체제 안착을 위해 노력하던 김 위원장의 측근들까지 전면에 등장시킨 것을 보면 그만큼 후계 작업이 쉽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향후 북한 내부의 변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