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계 안정이 급선무… 대외 관계개선 나설 듯

2010.09.28 22:15

김정일 ‘외치’ 김정은 ‘내치’ 역할 분담

체제 정비 후 대남·대미 대화 제의 예상

3대 권력 세습 체제에 시동을 건 북한이 대남, 대외 정책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북한 전문가들은 “김정은으로의 후계체제 안착이 급선무여서 당장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체제 안정 뒤 대외정책에 적극적으로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다만 대남·대미 등 대외 전략은 당분간 유연해지고 경제 살리기 등에 주력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김정은 후계체제가 뿌리를 내리고 정당성을 얻기 위해서라도 내부 단속이 우선이라는 분석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만약에 후계가 공식화된다면, 김정일과 김정은의 공동정권이 출범하는 셈”이라며 “나름대로 역할을 분담해 김 국방위원장은 대외정책을, 김정은은 주민들이 먹고사는 문제부터 해결하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 교수는 “당·정·군의 하위조직 개편까지 필요해 당분간 대외정책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대남라인의 새 진영이 구축된 뒤 내년 초쯤 대외관계에 속도를 낼 것 같다”고 내다봤다.

이처럼 상당 기간 남북관계나 북핵 문제의 급진전은 없겠지만, 관계 악화도 꾀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단기적으로 특별한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고 현상태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김정일이 총비서로 재추대되고, 선군정치도 그대로 가기 때문에 곧바로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다만 김정은 후계 구축 과정에서 성과가 나와야 해 대남·대미 정책 등에 유연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단기적으로 강경노선을 견지할 수 있지만, 경제발전 등 내부 결속을 위해서라도 대남·대미 관계 개선이 필요할 것이란 지적이다.

북·중 정상회담 등을 통해 6자회담을 재개할 뜻을 내비치고, 남측에 먼저 수해 복구 지원 요청과 이산가족상봉 제의 같은 유화책을 내놓은 것도 이런 맥락에서 해석되고 있다. 북한이 최근 핵협상과 대미외교를 도맡아온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을 부총리로 격상한 것도 대외관계 개선과 협력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는 풀이다.

이수석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연구위원은 “주민들 불만을 무마시키기 위해 대미·대남 강경책을 쓸 여지는 충분하지만, 천안함 사건 이후 쉽잖다”면서 “북한이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체제 안정을 위해서는 특히 대미관계 개선이 더 절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오히려 남측에는 관계 개선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당장 이산가족상봉 장소와 금강산관광 재개 문제를 놓고 줄다리기가 진행 중인 가운데 북측이 다음달 1일 3차 실무접촉에서 전향적 자세를 보일지도 관심거리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