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개혁’을 지운 이유

2016.02.22 22:36 입력 2016.02.23 00:43 수정

회의장 배경판 문구 없애 내부 갈등에 반성의 의미

“집 나간 개혁을 찾습니다?”

국회 내 새누리당 대표실 회의장 벽면을 배경으로 큼지막하게 붙어 있던 ‘경제를 살리는 개혁·미래를 구하는 개혁’이란 문구가 22일 사라졌다. 배경판에는 아무런 글씨가 쓰여 있지 않은 채 새빨간 색깔로 뒤덮였다. 최고위원 마이크 앞에 붙어 있던 ‘경제 먼저’ ‘민생 먼저’ 문구도 함께 사라졌다.

이는 조동원 홍보기획본부장의 ‘작품’이다. 최근 ‘무·한(김무성·이한구) 갈등’ 고조로 회의가 파행을 빚는 등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인 데 대한 반성의 의미였다.

조 본부장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메시지가 없는 것도 메시지입니다. 하나가 될 때까지!”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그렇다고 으르렁거리던 사람들이 하루아침에 ‘하나’가 될 리 만무하다. 김무성 대표는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정치개혁을 위해 국민공천제를 확정했는데 공천관리위원회가 그렇지 않은 방향으로 가고 있어서 ‘개혁’이란 말을 쓰기 부끄러웠던 모양”이라고 말했다. ‘개혁 실종 사태’의 원인을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의 탓으로 돌린 것이다. 반성은커녕 갈등의 골만 더 깊게 파였다.

‘글씨 실종’은 최근 박근혜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여권이 안보 위기를 집중 부각시키며 테러방지법 통과에 총력을 다하고 있는 상황과도 무관치 않다.

‘개혁·경제·미래·민생이란 단어는 일단 덮어두자’는 상징적 의미이자 여권의 전략으로도 해석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