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당선인 정치 행보의 기준점 ‘지방선거’

2022.04.11 21:08 입력 2022.04.11 23:28 수정

TK 시작으로 지역 순회 돌입

‘당선 인사’ 명목 방문 이례적

보수지지층 겨냥 박근혜 만남

‘대선 연장전’ 국정동력에 영향

윤석열 당선인 정치 행보의 기준점 ‘지방선거’

6·1 지방선거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사진)의 최근 행보를 해석하는 기준으로 부상하고 있다. ‘선 조각, 후 조직개편’, 당선 인사를 겸한 지역 순회, 전직 대통령 박근혜씨 회동 등 굵직한 정치적 판단들이 지방선거 자장 안에서 이뤄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방선거 승패가 초반 국정동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윤석열 정부’ 출범 전 시간이 지방선거를 기준으로 흐르는 모습이다.

윤 당선인은 11일 대구·경북(TK) 지역을 1박2일로 들르는 것을 시작으로 지역 순회 행보에 돌입했다.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승리 인사를 위해 지역을 도는 것은 이례적이다. 지방선거 정국이 본격화하는 때라 정치적으로 예민한 시점이다. 민심 청취를 내걸고 윤 당선인이 직접 차기 여권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행보로 비칠 수 있다. 윤 당선인이 12일 대구 달성의 박근혜씨 자택을 찾아 회동하는 데도 정치적 해석이 따라붙는다. 윤 당선인이 박씨와 만나 국정농단 수사 당시 앙금을 털어냄으로써 TK 지역의 보수 지지층에게 ‘원팀’ 결집 신호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윤 당선인 측은 지방선거와 연결짓는 해석에 거리를 둔다. 대선 승리에 감사를 전하러 오겠다는 후보 시절 약속을 지키고 민생을 살피기 위한 취지라는 것이다. 윤 당선인도 이날 경북 상주시 풍물시장에서 “제가 선거운동 과정에서 국민과 상주·문경 시민께 약속드린 말씀은 하나도 잊지 않고, 잘 이행하겠다”고 했다.

지방선거가 윤 당선인 행보를 읽는 기준으로 거론되는 데는 ‘대선 연장전’으로 불리는 지방선거의 상징성이 깔렸다. 이번 선거는 윤 당선인의 취임(5월10일) 뒤 한 달 안에 치러진다. 국회 입법 권력은 172석을 점한 더불어민주당에 있고, 지방의회 권력도 민주당에 쏠려 있다. 중앙정부 권력을 쥐더라도 ‘윤석열표’ 정책이 국회에서 벽에 부딪힐 수 있는 환경이다. 당선 한 달 뒤 치러지는 지방선거에 패할 경우 지방의회의 협조가 어려워지고 국정동력 확보에도 타격을 입게 된다. 윤 당선인의 직무수행 기대감은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이라, 지방선거가 돌파구로도 부상하고 있다.

윤 당선인은 김태흠 국민의힘 의원에게 직접 충남지사 출마를 설득한 일이 공개되면서 ‘오더정치’ 비판을 받기도 했다.

‘선 조각, 후 조직개편’ 방침을 세운 것도 지방선거 전 수세 국면을 최소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국회에서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논의되는 시점은 지방선거 뒤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정공백 최소화”(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를 내걸었지만, 두 진영이 강하게 부딪칠 경우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결집세가 강해질 우려 등을 반영한 선택이라는 해석이 많다.

당내에서는 지방선거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당 관계자는 “지난번 지방선거에서 워낙 성적이 좋지 않아 ‘대선 연장전’인 이번에는 좋아질 거란 분위기가 있다”며 “인수위가 부동산 문제 등에 시그널을 주고 있으니 그런 시그널에 대한 기대감이 (지방선거에) 반영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국회 의석 절대다수가 민주당이고 지방권력 대부분도 민주당이 우위에 있으니 윤석열 정부 성공과 2년 뒤 총선을 위해서라도 의미 있는 표들이 나와줘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