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AI 안전성·포용성 확보해야”···AI 서울 정상회의 개최

2024.05.21 22:15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대한민국도 인공지능(AI) 안전연구소 설립을 추진해 글로벌 AI 안전성 강화를 위한 네트워크에 동참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누구나 AI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포용성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상으로 진행된 ‘AI 서울 정상회의’에 참여한 각국 지도자들은 “AI 분야에서 국제 협력 및 대화를 촉진하고자 하는 공동의 헌신을 확인한다”는 내용을 담은 공동 선언문도 발표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식에서 대사들을 보고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식에서 대사들을 보고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 대통령은 AI 서울 정상회의 개회사를 통해 “영국,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의 AI 안전연구소 설립 노력을 환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먼저 AI가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우리 사회의 안녕과 민주주의가 훼손되지 않도록 AI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AI 발전으로 인해 딥페이크를 통한 가짜뉴스, 디지털 범죄 악용 등의 부작용이 이미 나타나고 있는 상태다. 윤 대통령이 안전성 확보를 AI 개발의 우선 과제로 제시한 셈이다.

윤 대통령은 AI 개발 과정에서의 개방성도 강조했다. 그는 “AI가 가진 커다란 잠재력을 구현해내기 위해서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AI의 혁신을 추구해야 한다”며 “이러한 AI 혁신은 글로벌 경제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부여하고, 환경오염 등 전 지구적인 난제를 풀어가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AI의 포용성 확보가 필요하다고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거주지역과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누구나 AI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AI의 포용성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미래 세대에게 혁신의 혜택이 이어지도록 지속 가능한 AI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AI 서울 정상회의는 이날부터 이틀간 진행된다. 행사 주제는 ‘AI 서울 정상회의를 토대로, 혁신적이고 포용적인 미래로’다. AI의 발전으로 전 세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국제 사회가 대화를 하고 공동으로 대응하자는 취지의 행사다.

AI 서울 정상회의에는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주요 7개국(G7)과 싱가포르·호주 정상에 국제연합(UN·유엔)과 유럽연합(EU),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 수장 등이 참석했다. 글로벌 기업에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 에릭 슈밋 전 구글 최고경영자도 참석했다. 국내에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이해진 네이버 창립자 등도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 모인 각국 지도자들은 ‘안전하고 혁신적이며 포용적인 AI를 위한 서울 선언’을 발표했다. “AI 분야에서 국제 협력 및 대화를 촉진하고자 하는 공동의 헌신을 확인한다”, “인간 중심적인 AI를 활용하여 국제 난제를 해결하고, 민주주의적 가치·법치주의 및 인권·기본적 자유와 프라이버시를 보호 및 증진한다”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