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문서 관리 ‘구멍’ 여실

2014.12.01 22:06 입력 2014.12.02 00:30 수정

감찰업무 부서서 문서 유출… 내부 보안 심각한 결함 입증

정윤회씨의 ‘비선(秘線) 국정개입’ 의혹 사건이 불거지면서 청와대 문서관리 체계도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특히 감찰업무를 수행하는 공직기강비서관실 문건이 유출된 게 치명타였다. 내부 보안에 심각한 결함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유출 의도나 경로와는 별개로 청와대 자체 보안시스템에 구멍이 뚫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b>문고리 뒤에서…</b>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1일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가 시작되기 전 누군가와 통화를 하고 있다. | 청와대사진기자단

문고리 뒤에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1일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가 시작되기 전 누군가와 통화를 하고 있다. | 청와대사진기자단

청와대 내부 문건은 철저한 보안 절차를 거쳐 생산·관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성부터 내부 인트라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만 가능하고, 이 컴퓨터로는 외부 인터넷망을 이용할 수 없다. 이를 열람해 수정한 뒤 저장하고, 인쇄·복사하는 일련의 과정도 매번 내부 전산시스템에 기록으로 남는다. 이동식저장장치(USB)도 보안 인가를 받아 별도로 지급받은 것만 쓸 수 있다. 이 밖에도 불시 점검, 출퇴근 보안점검 등이 이뤄지는 것으로 전해진다.

‘막강 보안체계’를 갖춘 것으로 보이지만 이번 사건으로 청와대는 시스템 재점검에 들어가야 할 상황이 됐다. 실제 현장에서는 이 같은 보안 절차들이 지켜지지 않는다는 얘기가 나온다. 개인 보안점검도 매일 출퇴근 시마다 강도 높게 이뤄지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여권 관계자는 “일일이 가방을 열고 하나하나 검사하진 않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사건의 핵심을 ‘청와대 문건 유출’로 규정하는 여당 내에서도 보안 문제를 두고 우려 섞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김영우 대변인은 1일 YTN 라디오에 출연해 “이런 정도의 문건이 유출됐다고 봤을 때 만약에 다른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는 문건이 유출되었다고 가정한다면, 그것은 끔찍한 일”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