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 만에 시진핑의 ‘중국몽’ 앞에 놓인 장애물…밖에선 미국의 견제, 안에선 불평등

2019.10.01 22:14 입력 2019.10.01 22:16 수정

70년 만에 시진핑의 ‘중국몽’ 앞에 놓인 장애물…밖에선 미국의 견제, 안에선 불평등

중화인민공화국의 70년 역사는 말 그대로 ‘상전벽해’(뽕나무밭이 푸른 바다로 변함)에 비견된다. 1949년 10월1일 마오쩌둥(毛澤東) 국가주석이 베이징 톈안먼 망루에 올라 ‘신중국’ 수립을 선포한 지 70년 만에 중국은 열강의 침탈과 내전으로 가난에 시달리던 공산주의 국가에서 명실상부한 세계의 대국으로 우뚝 섰다.

건국 초기 30년은 수천년 중국 역사에도 기록될 만한 암흑기이자 시행착오의 시기였다. 건국 이듬해부터 한국전쟁을 치르느라 여력이 없었던 중국은 1958년 야심차게 준비한 경제개발계획인 대약진운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결과는 참담했다. 강철을 농가에서 직접 생산하도록 한 ‘토법고로’는 산림을 황폐화시켰고, 대대적인 참새·해충 박멸운동인 ‘제사해운동’은 병충해 창궐로 이어져 심각한 대기근이 발생했다. 3년간 대약진운동으로 4500만명에 이르는 아사자가 양산됐다.

1960년대 후반부터 10년은 정치·사회·문화적 참사의 시기였다. ‘전근대적 유교문화와 자본주의를 타파하자’며 시작된 문화대혁명은 삽시간에 중국 전역을 휩쓸었다. 어린 홍위병들의 위력 앞에 300만명 당원들이 숙청당했고, 대학이 폐쇄되고 문화유산이 파괴됐다. 1976년 마오쩌둥의 사망과 함께 문화대혁명은 막을 내렸다.

덩샤오핑(鄧小平)이 권력을 장악하면서 중국은 용틀임을 시작했다.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실용주의 노선의 덩샤오핑은 1978년 개혁·개방 노선을 천명했다. 고도성장을 거듭한 중국 경제는 2007년 세계 3위 독일을 제친 데 이어 2010년에는 2위 일본을 넘어 G2 지위에 올라섰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978년 200달러를 기록한 중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018년에는 9470달러에 이르렀다.

과학기술 수준도 세계 최강국 반열에 올랐다. 1970년대 이미 원자폭탄·수소폭탄과 위성발사 기술 보유에 성공한 중국은 ‘베이더우(北斗)’ 위성항법시스템은 물론 달 탐사에도 성공했다. 세계 첫 체세포 복제 원숭이도 만들어냈다.

200개 이상의 제품에서 생산량 세계 1위를 자랑하는 ‘세계 제조업의 엔진’이라는 위상도 굳혔다. 알리바바·화웨이·샤오미 등 초대형 정보기술(IT) 회사도 모두 중국에서 배출했다.

국력이 커지면서 외교 노선은 점점 적극적으로 변했다.

덩샤오핑 외교 노선의 핵심인 ‘도광양회(韜光養晦·빛을 감추고 어둠 속에서 힘을 기름)’는 장쩌민 주석 시기에는 ‘해야 할 일은 적극적으로 나서서 이뤄낸다’는 유소작위(有所作爲)로, 후진타오 집권기에는 ‘평화롭게 우뚝 선다’는 화평굴기를 거쳐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외치는 시진핑의 ‘중국몽’에 이르렀다. 유일한 패권국이었던 미국과 겨루겠다는 야심을 공공연히 드러낸 것이다.

하지만 이런 움직임은 미국의 견제를 불렀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아시아 회귀’ 전략을 천명하고, 한·미·일 3각 동맹을 앞세워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뜻을 드러냈다. 여기에 ‘아메리카 퍼스트’를 주창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집권기가 겹치면서 미·중은 무역갈등을 비롯해 전방위적으로 부딪치고 있다.

내부 과제도 많다. 특히 비약적인 경제성장과 억압받는 시민의 자유가 불균형을 빚는 모양새다. 1989년 톈안먼 사태 때 좌절된 민주화 요구가 언제, 어떻게 또다시 터져 나올지 예단하기 어렵다.

불평등 확대 문제도 화약고다. 도시와 농촌의 생활 격차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고, 도시에서도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주거 불안정성이 높아지고 있다. 홍콩의 반중 민주화 시위 장기화에서 보듯,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20여년 유지해온 ‘일국양제’(한 국가 두 체제)도 근본적인 도전을 받고 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