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제국

2018.04.19 20:48 입력 2018.04.19 21:01 수정

[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치킨제국

치킨공화국이라는데, 나는 치킨제국 같다. 군림하는 황제와 복종하는 신하들이 있을 뿐이다. 먹는 이들도, 치킨을 튀기는 일선의 장사꾼들도 제국의 신하들 같다. 복종은 길고, 말은 짧다. 치킨값과 재료값은 제국이 정하는 대로다. 경기가 나빠서 치킨이 더 팔린다는 분석이 있었다. 1997년의 외환위기 이후다. 외식비가 없어 배달 치킨으로 만족하는 소비자들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치킨 튀기는 이들도 쏟아졌다. 내가 겪어봐서 안다. 월급 반 토막에 직원 수 반 토막이었다. 나가라, 나가라, 다 나가라였다. 그때 우리는 치킨 맛을 깊게 혀에 들였다. 뭐든 물건 잘 팔아서 부자 되고 떵떵거리는 거야 뭐라 할 게 못 된다. 그러나 강남 요지에 불쑥불쑥 솟은 치킨 회사 사옥을 보면, 늘 신문을 장식하는 갑질 기사가 떠오른다. 왜 유독 치킨 회사 오너들은 갑질로 문제를 일으킬까. 실은 그게 아닐 수도 있다. 갑자기 부자가 되었지만, 위기관리를 못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다. 갑질이야 어떤 회사든 늘 있는 일 아닌가 말이다. 최근에는 하루에 ○○마리만 튀긴다는 치킨회사 광고가 눈에 자주 띈다. 그 정도만 튀기고, 기름 싹 갈아버리는 깨끗한 치킨이라는 뜻이다. 더도 말고 그 정도만 팔아주면 가맹자도 회사도 먹고살 것이라는 소박한 계산도 있으리라. 그 광고를 본 치킨 장수가 말했다. “하루에 그렇게 ○○마리 파는 것도 쉽지 않은데.” 더 팔지 않겠다는 광고인데, 실은 그것조차 팔 수 없는 치킨 장수가 더 많다는 뜻이다. 치킨은 우리 사회의 어떤 상징이다. 거대해지고 있지만 실속 없이 몰락하는 자영업, 청년실업과 치킨집 창업, 막장 같은 배달업의 위험, 거기에 재료가 되는 닭 생산의 미궁 같은 이야기도 있다. 언젠가 닭 생산 회사를 취재했다. 동물복지 닭을 생산하는 회사였다. 딱 한마디가 지금도 귀에 맴돈다.

“저희 회사는 도계장까지 수송해올 때 케이스에 담아 이동합니다. 도계 라인으로 넘길 때도 케이스로 안전하게 처리하지요.”

동물복지 닭이 아닌 경우는?

“빨리 작업을 해야 하므로 차량의 닭장에서 도계장 쪽으로 닭을 손으로 잡아 던집니다.”

나른하고 더운 오후, 끔찍한 상태로 닭장에 갇혀 이동한 후 잡혀 던져지는 닭의 ‘활공’이 눈에 그려졌다. 그 닭들이 마지막으로 누릴 자유였을까.

[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치킨제국

그러거나 말거나 우리는 치킨에 미쳐 있다. 거기서 거기인, 바삭한 맛과 매운 양념맛을 고르고 어쩌면 파와 마늘이 들어간 별미(?), 두 마리 제공의 마릿수 유혹에 빠져 브랜드를 고르기도 한다. 앞서 닭 전문가에게 우문 하나를 던졌다. 왜 세 마리 치킨은 히트치지 못할까요.

“그럼 치킨집 사장님들이 죽습니다. 한 마리도 힘든데 세 마리를 튀겨야 하잖아요.”

그래도, 이 난리통 같은 경쟁에 주문만 있다면야 기름 연기를 뒤집어쓰면서 까짓 세 마리, 아니 네 마리인들 튀기지 못할쏘냐, 싶었다. 먹고살기 힘든 세상이다. 그래서 우리들은 치킨집 사장님들 굶을까 봐 닭을 한 마리라도 더 시키고 앉아 있는 것인가. 아니면, 내가 힘들어 닭 한 마리로 위안받고 있는 것인가.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