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공원·가로수·궁궐에서 맹독성 농약 남용···‘꿀벌 실종’ 원인 농약도

2022.07.21 11:02 입력 2022.07.21 17:15 수정

서울 자치구별 공공녹지 내 농약 살포량. 서울환경연합 제공.

서울 자치구별 공공녹지 내 농약 살포량. 서울환경연합 제공.

서울의 공원, 가로수, 궁궐·왕릉 등의 공공녹지에서 맹독성 농약이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용된 맹독성 농약에는 최근 ‘꿀벌 실종’의 원인으로 지목된 ‘네오니코티노이드’농약도 포함되어 있다. 서울시는 살포 방식과 양, 횟수 등을 산림청 지침대로 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서울환경연합은 21일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 자치구, 문화재청 등에 정보공개를 청구해 확보한 서울 공공녹지의 지난 5년간 ‘농약 사용현황’ 자료를 공개했다.

기관별로 농약 살포량에 큰 편차···“주먹구구식 살포탓”

서울환경연합은 조사 대상 공공녹지에서 모두 예외없이 고독성의 농약이 대량으로 살포되면서 시민 건강을 위협하고, 생태계를 훼손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서울환경연합에 따르면 특히 문화재청이 궁궐과 왕릉 등에 살포한 농약은 연간 6065㎏으로, 서울 자치구의 평균(1098㎏)의 5배가 넘었다. 농약이 가장 많이 살포된 곳은 서울 외곽의 태릉과 강릉(2931㎏)이었고, 도심부의 의릉(1774㎏)이 뒤를 이었다.

서울시 궁궐과 왕릉 일대의 지난 5년간(2017~2021) 꿀벌에 위험한 농약 살포량

서울시 궁궐과 왕릉 일대의 지난 5년간(2017~2021) 꿀벌에 위험한 농약 살포량

서울환경연합은 또 서울시가 관리하는 남산공원(517㎏), 보라매공원(269.2㎏), 월드컵공원(189.4㎏) 등에서도 대량의 농약이 살포되고 있었으며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도 사용되어 왔다고 밝혔다.

서울 자치구들에서는 꿀벌 떼죽음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가 평균 267㎏이 사용됐다. 이는 전체 농약 살포량의 24.4%를 차지했다.

최진우 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 전문위원은 “서울시와 문화재청 등은 지침에 따라 적절하게 농약을 살포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사용량, 희석 농도 등이 주먹구구식으로 결정되고, 살포가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며 “농약 구입 및 사용에 대한 기록조차 제대로 남겨놓지 않은 기관들도 확인됐다”고 말했다.

서울환경연합은 서울시와 문화재청 등이 사용한 농약 가운데는 발암물질인 ‘다이아지논’이 포함돼 있었다고 밝혔다. 다이아지논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그룹2A’ 발암물질로 분류한 농약이다. 그룹2A란 인간에서는 증거가 제한적이지만, 동물실험에서 충분한 발암성이 확인된 물질로, 인체 발암 가능성이 확실한 물질들을 말하는 그룹1 다음으로 발암 가능성이 높다고 서울환경연합은 설명했다.

서울환경련 “꿀벌 독성 농약 금지해야”···서울시 “대체 농약 사용할 것”

서울환경연합은 공원·가로수·궁궐 등 공공녹지를 관리하는 서울시, 25개 자치구, 문화재청,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서울시설공단 등에 네오니코티노이드 농약 살포는 금지하고, ‘꿀벌에 독성 강함’ 농약사용을 엄격하게 제한하라고 요구했다.

최 전문위원은 “독성이 강한 농약을 사용하면서도 지나가는 시민들에게 제대로 공지를 하지 않고 있고, 작업자들도 농약에 그대로 노출되고 있는 것도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서울시 자연생태과 관계자는 “서울시는 고독성 농약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가능하면 독성이 가장 낮은 등급의 농약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며 “농약 살포 방식과 양, 횟수 등도 산림청 지침대로 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가 꿀벌 폐사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지난 4일부터는 해당 살충제 사용을 중지하도록 했다”며 “앞으로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이외의 저독성 농약이어도 꿀벌에 피해가 있는 경우는 대체 농약을 사용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