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한은, 기준금리 연 3.5% 동결…올해 성장률 전망치 2.5%로 상향 조정

2024.05.23 09:50 입력 2024.05.23 11:41 수정

작년 2월부터 11회 연속 동결

“물가 목표수준 확신할 때까지 긴축 충분히 유지”

내년 성장율은 2.1%로 전망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한국은행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한은은 이날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2.1%에서 2.5%로 상향 조정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연 3.50%인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2월 이후 11회 연속 동결이다.

금통위원들은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성장세 개선, 환율의 변동성 확대 등으로 물가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데다 지정학적 리스크도 지속되고 있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속보] 한은, 기준금리 연 3.5% 동결…올해 성장률 전망치 2.5%로 상향 조정

금통위는 이어 “세계경제는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지고 인플레이션도 추세적으로 낮아지고 있지만 주요국별 경기 상황과 물가 둔화 속도는 차별화되는 모습”이라며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 및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양상,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상황 등에 영향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통위는 “국내경제는 성장세가 예상보다 개선된 가운데 물가 상승률의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물가 전망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상황이기 때문에 물가가 목표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물가가 목표수준에 수렴한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통위원들은 상향 조정된 성장률 전망치를 설명하면서 국내 경제가 양호하다고 진단했다. 금통위원들은 “앞으로 국내경제는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는 2분기중 조정되었다가 하반기 이후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향후 성장경로는 IT경기 확장 속도, 소비 회복 흐름, 주요국의 통화정책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은 기존 입장인 올해 2.6%, 내년 2.1%를 유지했다.

금통위원들은 “앞으로 국내 물가는 성장세 개선 등으로 상방압력이 증대되겠지만 완만한 소비 회복세 등으로 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