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활성화 수단” 요일제공휴일 추진···대안 없이 재탕?

2024.07.03 12:30 입력 2024.07.03 16:58 수정

법정 공휴일을 특정 요일에 지정

내수·서비스업 경기 활성화 기대

2016년에도 도입 검토 연구용역

2011년 개천절 등 추진했다 철회

지난달 30일 서울의 한 전통시장 내 가게 앞에 임대문의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30일 서울의 한 전통시장 내 가게 앞에 임대문의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내수 활성화 수단” 요일제공휴일 추진···대안 없이 재탕?

정부가 어린이날(5월5일) 등 법정 공휴일을 특정 요일로 지정해 쉬게 하는 ‘요일제공휴일’ 도입을 검토한다. 공휴일을 금요일이나 월요일로 지정해 연휴가 늘어나면 내수가 살아날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하지만 과거에도 도입을 계획했다 철회한 정책을 별 다른 대안 없이 또다시 들고 나온 것이어서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다.

기획재정부가 3일 발표한 ‘역동경제 로드맵’을 보면, 정부는 일과 생활의 균형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요일제공휴일 도입을 검토한다.

요일제공휴일은 특정 날짜 중심으로 지정해 운영되고 있는 현재의 법정 공휴일을 ‘○월 ○번째 ○요일’ 등과 같은 요일로 지정해 운영하는 방식이다. 일부 법정 공휴일을 주말과 휴일의 앞뒤로 붙이면 토∼월, 금∼일 등으로 연휴가 늘어나고, 이렇게 되면 여행과 소비 등이 늘어 내수와 서비스업 경기가 활성화 될 것이란 기대가 깔려 있다.

요일제공휴일이 정착되면 연휴를 예상할 수 있어 기업의 업무 효율성도 좋아진다는 평가다. 일본이 2000년 시작한 ‘해피 먼데이(월요일)’ 정책이나 1971년 미국이 제정한 ‘월요일 공휴일 법’ 등과 같은 제도다.

기재부는 과거에도 요일제공휴일 도입을 검토한 바 있다. 2016년 6월 말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발표에서 요일제공휴일 도입을 검토하겠다며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당시에도 도입의 주요 근거는 내수 활성화였다. 기재부는 그해 어린이날 등 연휴가 늘면서 소비지출이 약 2조원 증가하고 이로 인한 생산 유발 효과가 약 3조9000억원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요일제공휴일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당시 기재부 발표를 전후로 “공휴일을 특정 요일로 지정할 경우 기념일 제정의 의미가 반감되고, 국민 정서상 받아들여지기 쉽지 않다”는 반론이 제기됐다.

또 공휴일을 의무적으로 보장받지 못하는 소규모 사업장에 대한 차별 문제가 부각되고, 각 기념일의 직·간접 당사자인 관련 단체들이 반대하면서 도입이 무산됐다. 정부는 2011년에도 개천절 등 일부 공휴일에 요일지정제 도입을 검토했다가 비슷한 이유로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그럼에도 정부가 별다른 보완책 없이 요일제공휴일 도입을 다시 꺼내든 것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징검다리 휴일과 비교해 요일제공휴일을 도입했을 때 국민들이 얻게 될 편익과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 등을 따져보기 위해 연구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