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바다 수온, 1도 높아진다…“수산재해 대비해야”

2024.05.22 09:42 입력 2024.05.22 10:30 수정

수과원, 해양계절예측모델로 2024 여름철 수온전망 발표

한 달 이상 고수온 특보 예측…“피해 최소화 선제 대응을”

2024년 5월 14~20일 한국 근해 주간 수온. 평년보다 1도가량 높다. 국립수산과학원

2024년 5월 14~20일 한국 근해 주간 수온. 평년보다 1도가량 높다. 국립수산과학원

국립수산과학원은 올여름 바다 수온이 평년 대비 1.0도 내외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22일 밝혔다.

평년값은 1991~2020년의 30년간 평균값이다.

수산과학원은 해양과 기상 자료를 이용해 3~6개월 이후의 해양변동을 계산해 예측하는 해양 계절예측모델을 통해 전망치를 산출했다. 그 결과 올여름에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연안 및 내만 해역에서 평년대비 1.0~1.5도가량 높은 표층 수온이 나타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연안의 양식장은 고수온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사전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고수온 예비주의보는 전년 대비 일주일 정도 이른 시기 또는 비슷한 시기인 6월 하순~7월 상순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수온 주의보는 7월 중순 발표돼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까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에는 7월 6일 예비주의보, 7월 28일 첫 주의보, 7월 31일 첫 경보, 9월 22일 전면 해제 순으로 특보가 발령됐다.

올여름은 평년보다 높은 기온과 수온으로 고수온 특보가 한 달 이상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장마전선의 소멸 시기, 북태평양고기압 및 티베트 고기압 세기, 태풍 통과, 냉수대, 대마난류 수송량 변동 등 기상 및 해양 조건에 따라 변동성이 클 수 있다고 과학원은 예측했다.

5월 들어 우리 해역은 강한 일사와 남쪽에서 유입된 따뜻한 공기, 이동성 고기압 등의 영향으로 평년대비 1도 내외의 높은 표층 수온이 지속(서남해역 일부 제외)되고 있다. 2024년 여름철 엘니뇨 소멸에 따른 북태평양고기압 강화 및 확장 등 영향으로 고수온 경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올여름, 고수온 발생 가능성이 큰 만큼 수온 변화를 지속해서 관측하고, 어업 현장에 예측결과를 신속하게 제공해 수산재해로 인한 피해 최소화를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