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으로 톺아보는 탄소중립 녹생성장 기본계획
① 온실가스 국제감축에 2030년까지 최대 12조원 예상, 여기에 써야 할까요?
② 다른 나라들도 온실가스 감축해야 하는데, 우리나라에 실적 나눠줄까요?
③ 과학자들은 ‘감축’이 아니라는 CCU를 계획에 넣어도 될까요?
④ 영국도 2000만t 탄소포집 한다는데, 우리나라는 어려울까요?
⑤ 그래서, 대안이 뭔데?
정부는 녹색성장 탄소중립 기본계획에서 탄소포집·활용·저장(CCUS)으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1120만t을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이 중 640만t은 탄소포집·활용(CCU)이 차지한다.
그런데 과학자들은 CCU를 감축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CCS(탄소 포집·저장) 480만t만이 감축으로 인정받는다. 그나마 이것도 문제가 없지 않다.
영국은 2030년까지 CCS를 활용해 온실가스 2000만~3000만t을 감축하겠다고 발표했는데 포집부터 수송, 저장까지 모든 단계에서 상대적으로 구체적인 계획이 있다. 반면 한국의 CCS 계획은 구체적이지 않을뿐더러 동해 가스전에 편중되어 있다.
영국은 2021년 유엔기후변화협약에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제출하면서, 2035년까지 1990년 대비 78%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영국 정부의 첫 번째 목표는 2020년대 중반까지 최소 2개의 산단을 ‘CCUS 클러스터’로 만드는 것이다. 2030년까지는 2개를 추가해 총 4개로 늘릴 계획이다. CCUS 클러스터 계획에는 육·해상 운송 네트워크와 해상 저장 설비 등이 포함된다. 산업·발전·수소 부문의 탄소 포집을 포괄한다.
영국 정부는 적격성 심사를 통과한 5개 산단 중, 2개 산단을 CCUS 클러스터로 선정했다. 두 산단 중 한 곳의 개발을 중단할 때를 대비해 예비 클러스터도 별도로 1곳 정해놓았다.
영국 정부는 포집한 탄소를 저장하는 곳 중 하나로는 북해 남부의 대염수층을 활용할 계획이다. 녹색기술센터가 지난해 5월 냈던 ‘영국의 CCUS클러스터개발 추진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2030년까지 최대 연간 2700만t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저장소는 리버풀만 가스전으로 2030년까지 연간 1000만t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계획이다.
한국은 동해 가스전에 2025년부터 연 40만t씩 총 1200만t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것을 목표로 저장소 개발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지난 22일 공청회에서 “동해 가스전 실증 규모는 연 120만t으로 늘려서 실증하게 될 것 같다”고 밝혔다. 2030년 NDC에는 크게 못 미친다.
정부가 2021년 냈던 CCS 중점 추진 계획을 보면 1조4000억원에 달하는 예산 중 9500억원이 동해 가스전 실증사업에 투입된다. 2030년 이전에 가동할 수 있는 다른 저장 설비는 계획에 없다.
주민 수용성도 문제다. 정부는 경북 포항 앞바다에 설치했던 ‘포항 해상 CCS 플랜트’를 올해 말까지 철거하기로 했다. 2017년 포항지열발전소가 가동되고 같은 해 11월 포항 지진이 일어나자 주민들이 폐쇄를 요구했다.
권경락 플랜 1.5 활동가는 “2030년까지 7년밖에 남지 않은 시간 제약을 고려하면 대규모 상용화 단계에 이를 가능성이 제한적”이라며 “안전 검증을 통한 주민 수용성 확보도 단기간 내 대규모 저장소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는 요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