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불법행위 경영진에 ‘배상 책임’

2024.06.11 21:33 입력 2024.06.11 21:34 수정

윤리·신뢰 등 의제 개선방안 발표

카카오가 불법행위를 한 경영진에게 배상책임을 묻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무분별한 기업공개(IPO)를 지양한다는 원칙도 세웠다.

11일 카카오 준법과신뢰위원회에 따르면 카카오는 준신위 출범 6개월을 맞아 전날 경기 용인 ‘카카오 AI캠퍼스’에서 연 첫 워크숍에서 책임경영, 윤리적 리더십, 사회적 신뢰 회복에 대한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 2월 준신위가 3가지 의제별 개선 방안 마련을 권고한 데 따른 것이다. 준신위는 카카오 계열사의 준법·신뢰 경영을 지원하는 독립기구다.

우선 카카오는 책임경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CA협의체 중심의 컨트롤타워 구조를 확립할 방침이다. 창업자인 김범수 CA협의체 의장이 경영 쇄신을 주도한다. 대규모 투자 등 사회적 영향이 높은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사전 위험 점검과 사후 모니터링 체계를 고도화한다. 경영진 책임 제고 차원에서 내외부 평판 검증을 포함한 임면 프로세스도 강화한다. 고의적인 불법행위를 한 경영진에게 배상책임을 지우는 방안을 검토한다.

윤리적 리더십 확립을 위해선 가치, 공정, 소통, 책임 등 4가지 항목을 담은 ‘카카오그룹 윤리헌장’을 만들기로 했다.

사회적 신뢰 회복 방안으로는 주주가치 보호와 파트너 상생을 제시했다. 자회사 상장으로 인한 모회사 주주가치 하락 우려를 방지하고자 무분별하게 신규 IPO에 나서지 않겠다는 원칙을 세웠다. 앞으로 IPO를 추진할 경우 그룹 차원에서 면밀한 사전 검증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IPO가 결정되더라도 주주가치 보호 방안을 함께 수립하겠다고 했다. 그룹 차원의 전체 로드맵을 조직해 체계적으로 상생사업을 지원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한편 카카오는 최근 인공지능(AI) 전담 조직 ‘카나나’를 신설해 AI 사업 역량 강화에 나섰다. AI 모델 개발 중심의 카나나 알파와 AI를 적용한 서비스 중심인 카나나 엑스로 구성해 시너지를 노린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