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훼손 꼼짝마” 제주, 환경영향평가 사업장 드론으로 감시

2024.06.27 15:27 입력 2024.06.27 15:31 수정

지난해 석산개발 4곳 시범투입

올해 대규모사업장 확대 시행

정밀 촬영으로 개발 전후 비교분석

제주도가 보다 정밀한 조사를 위해 환경영향평가 사후관리에 드론을 투입한다. 제주도 제공

제주도가 보다 정밀한 조사를 위해 환경영향평가 사후관리에 드론을 투입한다. 제주도 제공

제주도가 환경영향평가사업장의 사후 관리에 드론을 투입한다. 대규모 사업장들이 개발 당시 약속한 환경피해 저감 약속 등을 제대로 이행하는지 보다 세밀하게 감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는 지난해 시범사업에 이어 올해 본격적으로 드론을 환경영향평가 사후관리에 투입한다고 27일 밝혔다.

현재 제주지역에는 골프장, 관광개발지, 어항, 도로건설현장 등 66곳의 환경영향평가 사업장이 있다. 제주도는 해당 사업장이 약속했던 환경 피해 저감 방안 등 각종 환경영향평가 협의 내용을 준수하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점검해야 한다.

제주도는 이를 위해 20명의 각 분야 환경전문가로 구성된 사후관리조사단과 52명의 각 지역 읍면동 대표로 이뤄진 명예조사단을 운영해왔다. 이들은 사업장의 환경영향평가 협의 내용 준수 여부, 기존 지적 사항의 조치 여부, 사업장 안전 등 전반적인 관리 실태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하고 확인한다.

제주도는 이같은 기존 사후관리조사 시스템에 드론을 추가적으로 투입해 보다 정밀한 조사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실제 지난해 석산개발사업 4곳에 대해 드론을 시범적으로 투입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사업장 주변 상공에 다중분광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을 띄워 정밀 촬영을 한다”면서 “촬영 영상은 지도화, 다중분광 분석, 3D 모델링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같은 정밀분석을 통해 사업장의 개발 전후 모습,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제주도는 드론 투입으로 원형보전지역에 대한 보다 세밀한 확인과 식생 활력도 분석 등이 가능해짐으로써 사업장이 협의 내용을 준수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사업장 내 원형보전지역와 생태복원지 훼손 여부 등의 사후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도는 올해 한국환경공단과 합동으로 165ha(50만평) 이상의 대규모 개발사업장을 중점적으로 조사한다. 상반기에는 묘산봉관광단지 개발사업과 한라산 골프장, 산천단 유원지 조성사업에 대한 사후관리조사를 했다. 하반기에는 에코랜드 개발사업과 영어교육도시 개발사업에 대한 사후관리조사를 드론을 실시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조사 결과 협의내용 미이행과 같은 위법사항이 확인되면 이행조치 명령 등의 행정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앞서 드론을 이용해 부속도서인 마라도·비양도에 생필품과 지역특산물을 배송하는가 하면 해양 쓰레기 감시와 이송, 공유재산 실태조사, 해수욕장 내 구명 튜브 투하, 비상품 감귤 수확 현장 단속, 한라산 모니터링 등에도 드론을 활용하고 있다.

강애숙 제주도 기후환경국장은 “드론을 이용한 과학적 조사를 통해 사후관리의 전문성과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라면서 “사업자가 협의내용 준수하고, 환경훼손을 방지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