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 인사개편…여 기대, 야 실망’ 기사가 정부·여당에 부정적?

2015.09.09 22:28 입력 2015.09.09 22:38 수정

‘포털 편향 보고서’ 문제점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의 ‘포털 길들이기’ 논란은 지난 3일 공개된 40장짜리 보고서에서 비롯됐다. 새누리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최형우 서강대 교수팀에 의뢰해 진행한 ‘포털 모바일 뉴스 메인 화면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다.

중간보고 형식의 ‘미완의 보고서’가 가져 온 파장은 컸다. 양대 포털인 네이버와 다음 모두 새누리당과 정부에 불리하게 모바일 뉴스를 편집한다는 보고서 결론을 접한 새누리당은 즉각 “포털 편향성”을 성토하며 팔을 걷어붙였다. ‘객관적’ 수치가 나온 이상 규제가 필요하다는 논리다.

‘청 인사개편…여 기대, 야 실망’ 기사가 정부·여당에 부정적?

해당 보고서는 과연 집권여당이 ‘포털 우향우’ 정책의 근거로 삼을 만큼 객관적일까. 경향신문이 9일 언론·미디어 전문가들에게 분석을 의뢰한 결과, 신뢰성과 객관성에 의문이 간다는 게 다수 전문가들의 평가였다.

최 교수팀의 보고서는 지난 1~6월 포털 메인 화면 뉴스 5만236개(네이버 3만482개, 다음 1만9754개)를 분석한 결과, 두 포털 모두 정부·여당에 부정적 기사가 야당보다 8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우선 정부·여당을 한데 묶고 야당과 단순 비교를 한 것부터 문제라고 지적했다. 청와대와 여당, 모든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에 대한 부정적 기사 수와 야당에 대한 기사 수를 단순 비교하면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보고서가 분석한 정부·여당에 부정적 기사에는 “KTX 수출 길 막는 정부, 11년간 한 대도 못 팔았다”, “헛다리 짚은 경찰…‘크림빵 아빠’ 초동수사 부실” 같은 기사까지 포함됐다.

전체 중 중립적 표현을 쓴 기사가 71.5%에 달하는데 소수의 데이터로 ‘야 편향’을 도출한 것은 잘못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민경배 경희사이버대 모바일융합학과 교수는 “양대 포털을 합쳐서 정부·여당에 부정적 표현의 기사가 2%(1000건) 수준인데 이를 두고 포털이 정부·여당에 부정적이라 규정한 것은 데이터 해석의 의도된 왜곡”이라며 “주요 이슈의 상위 빈도 키워드 중 메르스, 세월호, 성완종 등은 야당보다 정부·여당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부정적 표현이 야당보다 당연히 높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개별 기사들을 ‘긍정/중립/부정’으로 분류한 기준도 모호하다. 정부·여당에 ‘부정적 표현’으로 분류된 기사 상당수가 ‘중립’에 가깝다는 지적도 나온다.

가령 청와대 인사개편에 대한 여야의 공식 반응을 함께 실은 ‘靑 인사개편…與 기대, 野 김기춘 유임 실망’ 기사도 보고서에는 여당에 ‘부정적 표현’을 한 것으로 분류돼 있다. 최 교수는 이에 대해 “그 기사는 청와대 인사에 여야의 설왕설래가 있는 것 자체가 부정적인 사건이 된다고 본 것”이라며 “부정적 표현의 예로 보고서에 잘못 기재된 것은 최종 보고서에서 바로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사원 교육, 신뢰도 평가를 거친 석·박사급 조사원 6명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면 ‘중립’으로 구분했다”며 조사 방법론의 신뢰성에 대한 지적에 대해선 반박했다.

전문가들은 이와 함께 보고서가 정부 역할을 감시하는 언론의 기본적 역할을 반영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전규찬 한예종 교수는 “주요 현안에 대한 비판과 감시의 역할을 한 것을 ‘부정적’ 보도라고 한다면 언론의 기본철학에 대한 무지와 편견을 갖고 출발한 연구라고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