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 상품 랭킹 조작’ 쿠팡에 1400억 과징금

2024.06.13 21:02 입력 2024.06.13 21:05 수정

검색 순위 바꿔 PB 상품 상단 고정
임직원 동원해 구매 후기 작성까지

공정위, 유통업체 최대 금액 부과
“소비자 부당 유인”…검찰 고발도

자사 상품 판매를 늘리기 위해 ‘쿠팡 랭킹순’ 검색 순위를 조작하고, 후기 작성에 임직원을 동원한 쿠팡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1000억원대 과징금과 검찰 고발 등의 제재를 받게 됐다.

공정위는 13일 공정거래법상 위계에 의한 소비자 부당유인 혐의로 쿠팡과 씨피엘비(CPLB)에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1400억원을 부과한다고 밝혔다. 이는 유통업체에 부과한 과징금 중 가장 크다.

공정위는 이들 회사를 검찰에도 고발하기로 했다. CPLB는 쿠팡이 지분 100%를 보유한 자회사로, 자체브랜드(PB) 상품을 전담해 납품해왔다. 공정위가 자체 판단해 알고리즘을 조작한 혐의로 회사를 검찰에 고발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공정위에 따르면 쿠팡은 2019년 2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알고리즘을 조작해 최소 6만4250개 자사 상품을 검색 순위 상위에 고정 노출했다. 자사 상품은 쿠팡이 납품업자로부터 상품을 매입해 직접 판매하는 직매입 상품과, 쿠팡이 직접 기획·판매하고 생산만 제조 하도급업체에 맡기는 PB 상품으로 나뉜다.

쿠팡은 자사 상품을 검색 순위 1·2·3위에 고정 노출하거나 기본 검색 순위 점수를 1.5배 높여주는 등의 방식을 사용했다. 고정 노출 상품에는 판매가 부진하거나 납품업체로부터 리베이트를 받기로 한 상품도 포함됐다. 이 과정에서 쿠팡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에 입점한 21만개 업체의 중개 상품은 검색 순위 상위에서 밀려났다. 쿠팡이 상단에 고정 노출한 자사 상품의 고객당 노출 수는 43.3%, 상품 매출액은 76.1% 뛰었다.

쿠팡은 소비자에게는 ‘쿠팡 랭킹’이 객관적 데이터에 기반한 검색 순위인 것처럼 안내했다. 공정위는 이런 조작으로 소비자 선택권이 침해됐다고 강조했다.

직원 2297명, 후기 7만여개 작성…‘평균 별점 4.8’

실제 쿠팡도 내부 자료를 통해 “특정 검색어의 상단 검색 결과, 대부분 PB 상품이 노출돼 타 브랜드 업체들이 불만을 제기하는 상황”이라며 “현재 시즌과 맞지 않는 상품들이 인위적으로 상단에 노출돼 고객에게 불편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고 했다.

쿠팡이 임직원을 동원해 PB 상품에 후기를 단 사실도 드러났다. 공정위 조사 결과, 쿠팡은 2019년 2월부터 2297명의 임직원을 동원해 7342개 PB 상품에 7만2614개 후기를 작성했다. 임직원이 쓴 후기의 평균 별점은 4.8점이었다. 구매 후기가 많고 별점이 높을수록 검색 순위 상위에 노출되는 데 유리하단 점을 노린 것이다.

쿠팡은 구매 후기를 1일 이내 작성하도록 하고 부정적 내용은 넣지 않도록 하는 등의 매뉴얼도 제작했다. 쿠팡은 공정위의 1차 현장조사가 이뤄졌던 2021년 6월 이전까지는 임직원이 구매 후기를 썼단 사실을 소비자에게 알리지 않았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